표절 논란을 빚은 박근혜정부의 국가브랜드 슬로건 ‘크리에이티브 코리아(Creative Korea)’가 폐기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7월 발표한 국가브랜드 슬로건 ‘크리에이티브 코리아(Creative Korea)’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로써 정부가 무려 35억원을 들여 선정한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국가브랜드는 1년 만에 폐기수순을 밟게 됐다.
‘크리에이티브 코리아’는 지난해 발표 직후부터 표절 논란에 휩쓸렸다.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7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회의에서 ‘크리에이티브 코리아’가 프랑스 무역투자진흥청 비즈니스 프랑스가 선정한 ‘크리에이티브 프랑스’ 캠페인을 표절했다고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후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면서 ‘크리에이티브 코리아’는 또다시 논란이 됐다. 슬로건 개발 사업을 주도한 회사들이 국정농단 비선실세인 최순실씨의 측근 차은택씨와 연관된 회사였다. 일감 몰아주기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문체부는 지난해 11월 국가브랜드 예산을 대폭 축소하고 ‘크리에이티브 코리아’를 국가 전체 브랜드가 아닌 해외홍보용으로만 축소해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결국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체부 장관으로 취임하면서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사업은 29일 공식 종료됐다. 문체부는 “내·외부 평가를 고려해 내린 결정”이라며 “크리에이티브 코리아 사업이 표절 의혹 등 여러 논란으로 국민적 공감과 신뢰를 얻지 못한 만큼 국가 이미지 제고라는 정책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대체할 새로운 국가브랜드도 개발하지 않겠다”는 말도 전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새로운 국가브랜드 슬로건 개발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 “국가브랜드는 슬로건이 아닌 한 국가의 국민성·문화유적·관광기반시설·정부의 대국민 정책방향 등 총체적인 사회문화적 가치에 의해 구축되는 만큼, 국민의 생활문화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일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