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 2곳 중 1곳은 정규직 전환 계획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절반 이상의 기업들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신규채용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해 청년 실업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이정근)은 기업 364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비정규직이 있는 143개사 중 58%가 ‘정규직 전환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58.7%), 대기업(57.9%), 중견기업(55%)의 순이었다. 전환비율은 비정규직 전원을 전환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30.1%로 가장 많았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 60개사는 그 이유로 ‘유동적인 업무량’(40%, 복수응답)을 꼽았다. 이어 ‘인건비 상승 부담’(38.3%),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위해’(18.3%), ‘최근 경영성과가 좋지 않아서’(6.7%) 등을 들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신규채용에 미칠 영향으로는 전체 응답 기업 364개사 중 53.8%가 정규직 전환이 확대되면 신규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란 응답과 ‘오히려 늘어날 것’이라는 답변은 각각 34.1%와 12.1%였다.
기업들은 정규직 전환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비정규직에 대한 유연한 기준 확립’(42%, 복수응답)을 들었다. 이어 ‘정부차원에서의 비용 지원’(41.2%), ‘산업특성 반영한 관련 제도 확립’(23.4%), ‘성과 중심의 임금 차등화 제도 마련’(21.2%), ‘처우에 대한 노조와의 원활한 협의’(14.8%) 등을 꼽았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