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패배하거나, 최소한 손해를 입게 만들고 경쟁자인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을 도우라”고 지시했다. 이에 백악관은 러시아의 ‘트럼프 밀어주기’ 작전을 대선 3개월 전인 지난해 8월 파악했고 이 정보를 입수한 뒤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간주, 비밀 태스트포스(TF)까지 꾸렸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 TF팀은 러시아가 유권자 등록 명단이나 투표개수기를 해킹해 미 대선을 방해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맞추고 활동했다. WP는 당시 오바마 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 오히려 선거 조작 시도로 보일 수 있다는 우려를 했고, 이에 따라 러시아에 직접 경고하는 선에서 마무리한 뒤 본격 대응을 선거 이후로 미뤘다고 덧붙였다. 당시 논의 테이블에 올랐던 보복성 대응 방안은 경제 제재 강화와 정보 유출, 사이버 공격 등이었다.
하지만 유력 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낙선하고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대통령이 되자 강력한 조치를 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후 오바마 전 대통령의 대러 강경책은 이에 대한 대응이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그해 12월 35명의 주미 러시아 외교관들을 추방하고 제재를 강화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5일 방영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오바마 전 대통령이 러시아 일을 대선 한참 전에 알았는데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오늘 처음으로 들었다”며 “그는 무언가를 해야 했다”고 선을 그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