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이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유치에 본격 나섰다.
오규석 군수는 22일 “국가사업인 원전발전을 위해 40여년동안 묵묵히 희생을 감내해온 고리원전 주변지역의 16만 기장군민은 물론 350만 부산시민의 복지향상과 안전을 위해 폐로된 고리1호기가 원전해체기술의 첫 실증·적용사례가 되어야 한다”며 “고리 1호기 폐로와 함께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의 입지는 기장군이 최적지”라고 밝혔다.
오 군수는 지난 19일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 내용 중 “고리1호기 영구정지는 원전해체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라면서 “원전해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동남권 지역에 관련 연구소를 설치하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한 말씀에 대하여 매우 환영하며, “정부에서는 원자력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설립사업에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해야 할 것이며 기장군에 반드시 유치되어 설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기장군은 2014년 9월 26일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범군민 유치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만장일치로 대정부 건의문(고리 1호기 당연 폐쇄 및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기장군 유치)을 채택해, 정부에 강력히 촉구한 바 있다.
또 오 군수는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사업의 연구결과를 고리1호기 해체에 가장 먼저 적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원전에 대한 상용해체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한 수출산업화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내 원전 83%, 세계원전 63%를 차지하는 가압경수로형인 고리 1호기의 폐로를 계기로 고리 1호기를 대상으로 한 해체기술을 개발하고 축적된 기술을 해외수출로까지 연결하면 전 세계에 가동 중인 원전의 해체 비용 약 200조원, 부대시설까지 포함하면 약1000조원으로 추산되는 세계 원전해체시장의 블루오션을 선점할 수 있다.
기장군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중입자가속기, 수출용 신형 연구로 등을 유치했으며, 이와 연계한 원자력 비발전 분야 대형 국책시설이 밀집한 ‘동남권방사선 의·과학 일반산업단지’를 장안읍 일원에 147만7907㎡(44만7000평) 규모로 2010년도부터 조성하는 중이며, 이 단지 안에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부지를 이미 확보하고 있다.
또한, 수출용 신형 연구로 등 연구기반시설과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 원자력산업단지 등 원자력 연관시설, 원전부품(건설) 업체가 동남권역에 70% 밀집해 있고, 교통여건 및 정주여건, 대학 연구기관 등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의 유치에 최적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오 군수는 “영구정지 된 고리1호기가 부산에 위치한 만큼 원전해체기술을 검증하고 인력을 양성하는 등 공정을 관리할 원전해체센터 역시 고리1호기 주변에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며 “해체연구센터의 유치를 위한 유치위원회를 재구성해 16만 군민과 350만 시민의 뜻을 담은 범시민 해체연구센터 유치서명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