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등 집단시설 종사자 10명 중 2명 '잠복결핵'

입력 2017-06-21 21:46 수정 2017-06-21 22:53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등 종사자 10명 중 2명이 잠복결핵 감염 양성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당초 7월로 예정됐던 만 40세 잠복결핵 검진사업을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3월 마련된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에 따라 의료기관(12만명)과 어린이집(14만명), 사회복지시설(11만8000명) 등 집단시설 종사자 약 37만8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해 온 잠복결핵 검진 결과, 지난 8일 기준으로 검진받은 12만7619명(33.8%) 가운데 21.4%(2만7256명)가 양성자로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양성률은 29.8%(6926명)로 가장 높았고 어린이집 종사자 20.9%(9116명), 의료기관 종사자 18.4%(1만1214명)의 양성률을 보였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되었지만 환자의 몸에서는 현재 활동 하지않는 상태, 즉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아무런 증상이 없고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염시키지 않는다.

 하지만 감염후 1~2년내 5%, 평생에 걸쳐 5% 등 총 10%가 결핵환자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어 검진을 통해 결핵전파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보건당국은 병역 판정검사 대상자 34만명에 대해 올해 1월부터, 고교 1학년생은 올해 4월부터, 학교밖 청소년은 지난 3월부터, 교정시설 재소자는 오는 8월부터 잠복결핵 검진을 추진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열린 제3차 결핵전문위원회에서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대상자인 만 40세(1977년생) 64만명의 7월 잠복결핵 검진은 시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권고, 의결됐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사업 타당성과 효과 및 양성자에 대한 치료 수용 능력, 대규모 집단 검진의 치료 순응도 및 부작용 최소화 등을 위해 만 40세 검진사업은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