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첫 전화통화에서 박근혜정부 때 이뤄졌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에 대한 우리 국민의 부정적 의견을 전달했다.
강 장관은 21일 오전 11시20분부터 20여분 동안 기시다 외무상과 통화하며 “우리 국민 대다수와 피해자들이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게 현실인 만큼 이 점을 직시하면서 양측이 공동으로 노력해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착실한 합의 이행이 필요하다”는 기시다 외무상의 발언에 대한 대답이었다. 재협상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강 장관은 이미 후보자 시절부터 위안부 합의 재협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지난 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양국 장관이 구두로 발표한 것이기 때문에 법적 구속력이 없다. 장관으로 임명되면 경과가 어떻게 진행됐는지 더 면밀히 분석해 나아갈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재협상할 구체적 근거에 대해서는 “합의 내용에서 10억엔의 성격이 무엇인지 명백하지 않다. ‘불가역적 최종적 합의’라는 표현은 군사적 합의에서나 볼 수 있는 얘기라고 생각한다”며 “인권유린 상황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피해자 중심의 법적 책임과 배상이다. 이 부분에 불명확한 부분이 있다. 합의서가 불충분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지난 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거주지인 ‘나눔의 집’을 방문해 받은 배지를 달고 인사청문회에 출석하기도 했다. 기시다 외무상과 첫 전화통화에서 한·일합의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의견을 전달해 재협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