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자의 교비 횡령으로 경영난을 겪은 서남대학교가 학교를 자진 폐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991년 개교한 지 26년 만이다.
전북 남원에 있는 서남대 구재단 측은 20일 “학교를 정상화하기에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대학 폐지 및 학교법인 서남학원 해산을 의결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서남대는 현재 임시 이사회로 운영 중이다. 구 재단이 공표한 폐교 예정일은 8월 31일이다. 교육부에 ‘대학 폐지 및 법인 해산 인가 신청서’도 제출됐다.
서남대 구재단 측은 “그동안 학교 정상화를 위해 나름대로 노력했지만 모두 실패했다”며 “지난 3년간 서남대 학생 충원율이 27.3%에 불과하고, 교직원 체불 임금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과대학 인증도 받지 못해 2018년도 학생 모집도 어렵게 됐다”며 “더는 정상적인 대학 운영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서남대는 설립자 비리 사건과 경영난으로 학교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2011년 이후 연이어 부실대학에 선정됐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임시 이사회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학교 설립자 이홍하(79)씨는 교비 등 1000억원대 횡령 혐의로 2013년 구속돼 9년 6개월 징역형을 받고 복역 중이다.
교육부는 자진 폐교를 신청한 서남대에 대해 인가취소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서남대 구재단측이 제출한 자진폐교 신청서를 오후 3시쯤 접수했다”며 “자진폐교가 가능한지 검토하겠다”고 했다.
서남대 임시 이사회가 그간 폐교 위기에 놓인 학교를 살리기 위해 애써왔다. 지난 4월 ‘서남대 정상화 계획서’를 제출한 서울시립대와 삼육대를 재정기여자(인수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교육부에 추천하기도 했다. 이후 총학생회를 비롯해 대학 구성원, 시민사회단체, 전북도의회 등은 서울시립대를 지지하며 학교 정상화를 요구했다.
학내외 반발이 거세고, 임시이사회가 제출한 ‘대학 정상화 계획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이어서 교육부의 폐교 결정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