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귀국한 지 6일만에 사망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유족에게 조전을 보냈다고 청와대가 20일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웜비어 사망 소식에 안타까움을 표하고 가족과 친지들에게 심심한 조의와 위로의 말씀을 전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또 “문 대통령은 어제 한 외신과의 인터뷰에서도 무엇보다 북한이 웜비어의 상태가 나빠진 즉시 가족에게 사실을 알리고 최선의 치료를 받게 했어야 할 인도적 의무를 이행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며 “북한이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것에 대해 대단히 개탄스럽다고 말했다”고 부연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북한은 아직도 우리 국민과 미국 시민을 억류하고 있는데 속히 가족들에게 돌려보내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이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웜비어는 지난해 1월 관광차 북한 평양을 방문했다 호텔에서 정치 선전물을 훔치려 한 혐의로 체포됐다. 같은 해 3월 체제전복 혐의로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뒤 미국과 북한 간 오랜 교섭 끝에 지난 13일(현지시간) 혼수상태인 채로 귀국했고, 6일 뒤인 19일(현지시간) 사망했다.
웜비어의 사망으로 북·미 관계 경색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서를 통해 “북한은 잔인한 정권”이라고 비난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도 “미국은 웜비어가 부당하게 감금된 것에 대해 북한에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때문에 이달말 예정인 한·미 정상회담을 비롯해 향후 문재인정부의 대북정책에도 먹구름이 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웜비어 사망과 관련해 외교부가 아니라 청와대가 직접 입장을 발표한 것도 사안의 엄중함을 감안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진심이라고 표현했다”며 “그런 마음을 미국에 충분히 보내주는 게 우리가 지금 상황에서 해야할 일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