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의 '위싱턴 발언'이 국내 안팎에서 논란을 일으키자 청와대가 진화에 나섰다.
청와대는 19일 문 특보가 북핵 동결 시 주한미군 전략무기와 한미 연합군사훈련 규모를 축소하겠다고 미국 현지에서 발언한 것에 대해 "해당 발언들이 앞으로 있을 여러 한미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엄중히 전달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문정인 특보에게 별도로 오늘 말씀을 드렸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정인 특보가 미국에 가는 과정에서 대통령과 사전 조율이 없었음을 분명하게 확인 드린다"며 "문 특보의 발언은 어디까지나 개인 아이디어 중 하나로 보면 될 것 같다. (주한미군 전략무기와 한미 연합군사훈련 축소) 부분들은 한미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결정될 사항이지 어느 한 분이 말씀하신다고 해서 실행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 특보가 미국으로 떠나기 전에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만나긴 했다. 정 실장은 문 특보의 생각이 아이디어 차원의 개인 논의라 여겼다고 한다"며 "문 특보와 정 실장이 그날 처음 만난 것으로 안다. 문 특보가 미국에서 어떤 이야기를 할지 사전 조율하는 자리가 아니라 그날 인사 겸 만난 자리"라고 설명했다.
문 특보의 발언이 문재인 대통령 생각과 얼마나 일치하는 지에 대해서는 "어디까지가 맞고 어디까지가 틀리다고 할 수는 없다. 여러 옵션 중 하나라 보면 될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앞서 문 특보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우드로윌슨센터와 한국 동아시아재단이 공동 개최한 행사에 참석해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할 경우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규모를 줄이는 방안을 미국과 협의할 수 있다. 또 한반도에 배치된 미국의 전략자산 무기 역시 축소할 수 있다"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