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국가기관 최초로 퀴어축제 참여한다

입력 2017-06-14 20:59 수정 2017-06-14 21:06
지난해 6월 서울광장에서 개최된 퀴어축제 때 판매되거나 무료 배포된 음란물.

국가인권위원회가 국가기관 최초로 다음달 개최 예정인 퀴어축제에 공식 참여한다.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는 14일 홈페이지에 퀴어축제에 참가하는 단체 및 기관의 명단을 게재했는 데, 국가기관으로 유일하게 국가인권위의 이름이 올랐다. 국가인권위는 매년 269억원의 국민세금이 투입돼 운영되는 기관으로 190여명이 재직 중이다. 

부스 설치 기관 중에는 구글코리아 러쉬 등 기업도 들어 있었다. 특히 동성애자 전용 에이즈 검사단체인 'iSHAP'과 에이즈에 감염된 동성애자들의 친목 모임인 '한국HIV/AIDS감염인연합회 KNP+' '청소년 청년 감염인 커뮤니티 알(& 행성인 HIV/AIDS 인권팀)' 등도 참여한다. 

부스는 비영리기관 기준으로 15만원을 납부해야 사용할 수 있다. 2015년과 2016년 서울광장에서 열린 퀴어축제 때 부스에선 성기모양의 과자와 초, 음란 사진, 자위기구, 술 등이 판매된 바 있다. 
지난해 6월 개최된 퀴어축제 때 부스에서 판매된 술. 서울광장 관리규정상 광장에서 음주를 하거나 흡연하는 행위는 금지돼 있다.

남성 동성애자인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국가인권위원회가 국가기관 최초로 퀴어문화축제 부스를 신청했고 선정됐다"면서 "인권위는 입법 사법 행정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독립기관이다. 앞으로 국방부 법무부 경찰청 서울시 외교부 대법원 헌법재판소 국회 등 더많은 국가기관의 참여를 기대한다"는 글을 남겨놨다. 

퀴어축제는 다음달 15일 서울광장에서 개최 예정이다. 현재 박원순 서울시장의 최종 수리여부 결정만 남은 상태다.

한효관 건강한사회를위한국민연대 대표는 "국가기관이 불건전한 행사에 뛰어든 것은 동성애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히고 공신력을 부여하는 것과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면서 "다수의 시민들은 타 기관과 중복되는 민원상담, 교육업무를 진행하는 국가인권위가 꼭 필요한 기구인지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