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시는 2014년 스마트폰 맞춤형 안전도우미 서비스 앱을 개발해 주민들에게 안전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급한 상황에 처한 시민이 스마트폰을 흔들기만 하면 앱이 작동하면서 GPS 위치가 안양시청에 있는 통합상황실의 도로망에 표시되고 인근 CCTV가 순차적으로 시민이 있는 곳을 비춘다. 범죄 등 위험상황인 것이 확인되면 즉각 경찰에 신고해 출동하도록 한다.
전남 강진군은 오지마을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해 상대적으로 행정서비스에서 소외됐던 지역 주민과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첨단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행정을 펼치고 있는 사례들이다.
행정자치부는 이처럼 4차 산업혁명에 기반을 둔 스마트 행정을 확산하기 위해 15일 5개 자치단체와 정부혁신 거점 지자체 육성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14일 밝혔다.
5개 지자체는 서울 구로구, 광주 광산구, 경기 안양·오산시, 전남 강진군 등이다. 45개 응모 지자체 중 2차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된 곳들로 이들에게는 사업 추진을 위해 총 10억원 특별교부세와 전문가 컨설팅이 지원된다.
안양시는 과천·의왕·군포·광명·안산·시흥시 등 인접 6개 시와 협력 네트워크를구축해 스마트폰 맞춤형 안전도우미 서비스를 이들 지역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 구로구와 경기도 오산시는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독거노인 돌봄, 치매환자 배회감지, 어린이집 안심 케어, 수도계량기 원격 검침, 스마트 휴지통, 위험시설물 관리, 쪽방촌 화재 감시 등에 나선다.
전남 강진군은 오지마을 스마트 반상회로 양방향 소통을 확대한다. KT 클라우드 센터의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해 정책을 전달하고 금융·의료 등 서비스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광주 광산구는 다른 지자체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표준 플랫폼을 구축해 데이터기반 과학행정을 전 지자체로 전파·확산하는 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행자부는 이들 지자체의 사례를 정부혁신 우수사례로 발전시키고 혁신 성과와 노하우를 매뉴얼화해 인접 지자체로 확산시킬 예정이다.
심보균 행자부 차관은 “이번 협약이 지자체의 혁신 우수사례를 만들고 전국에 스마트행정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행정 확산…행자부, 5개 지자체와 정부혁신 거점지자체 육성협약 체결
입력 2017-06-14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