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체감실업률 22.9%, 공식 통계보다 2.5배 높아

입력 2017-06-14 09:52


11%를 웃돌았던 청년실업률이 지난달 9%대로 떨어졌다. 하지만 청년들이 피부로 느끼는 실업률은 23%에 달해 청년일자리 창출이 정부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 추진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실업률(15~29세)은 9.3%로 집계돼 전년동월(9.7%)보다 0.4% 포인트 하락했다. 11.2%까지 치솟았던 4월에 비해서도 실업률이 떨어졌다.

하지만 공식 실업률 지표가 좋아졌다고 해서 청년 고용시장에 온기가 도는 것은 아니다. 구직활동 중인 학생과 각종 시험준비생 등 잠재적 취업가능자를 모두 포함한 체감 청년실업률(고용보조지표 3)은 22.9%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9% 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4명 중 1명은 자신이 실업상태에 있다고 느낀다는 의미다.

통계청은 공식 실업률과 체감 실업률의 격차가 크다는 비판을 반영해 공식 통계 이외 잠재적 취업가능자까지 포함한 고용보조지표를 발표하고 있다. 실업자가 최근 4주간 구직활동을 했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을 의미하는 데 비해 체감 실업자는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싶은 청년, 구직활동을 하지는 않지만 취업을 원하는 청년, 취업할 의지가 있는 청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일하고 싶은 요구가 완전히 충족되지 못한 노동력’이란 시각에서 청년실업을 분석하면 청년실업의 심각 정도가 공식 통계의 2.5배에 달한다는 것이다.

문재인정부가 11조2000억원의 추경예산을 편성하면서 앞세우는 근거도 청년실업률이다. 정부와 여당은 추경예산 투입이 청년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야당은 정부의 추경안이 법적 요건에 맞지 않고, 국민 세금 부담만 늘린다며 반대 논리를 펴고 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