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추가경정예산안 관련 국회 시정연설에서 “함께”라는 단어를 8번 사용했다. ‘일자리’(44번) ‘청년’(33번) ‘국민’(24번) 등 주요 키워드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추경 편성에 국회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창출은 정부 혼자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와 정부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며 “야당과 여당이 함께 힘을 합해야 한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19대 대선 당시 여야 모두 일자리 창출을 공통공약으로 내세웠다는 점도 상기시켰다. 문 대통령은 “누구나 아는 바와 같이 지금 우리의 고용상황이 너무나 심각하다”며 “그래서 지난 대선 때 우리 모두는 방법론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좋은 일자리 만들기가 우리 경제의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일자리 문제해결을 위해 국회가 먼저 나선 사례를 추켜세우는 일도 잊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국회가 올해 초 환경미화원을 직접 고용했다”며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선도적인 노력을 국회에서 먼저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저도 단단히 마음먹고 있다”며 국회가 제시하는 좋은 정책은 정부도 함께 따라 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날로 극심해지는 경제 불평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2016년 소득 하위 20% 계층의 소득이 5.6% 줄었지만 상위 20% 계층의 소득은 2.1% 늘었다”며 “잘 사는 사람들은 더 잘 살고 못 사는 사람들은 더 못살게 되는 흐름을 바로잡지 않으면 통합된 사회로 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함께하는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추경예산의 구체적인 사용처에 대해 말할 때도 ‘함께’라는 키워드가 드러났다. 청년일자리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면서도 노인일자리에 대한 고려를 잊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은퇴자의 기술과 경험이 청년 창업자와 만나면 청년 창업도 돕고 노인일자리도 늘릴 수 있다”며 “청년과 노인의 공동창업을 유도해 은퇴자들의 경륜을 살릴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백상진 이형민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