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교수팀은 강남세브란스병원 이용제 교수와 함께 2010~2012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6187명의 맥압(수축기-이완기 혈압차)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연구 결과, 맥압이 42㎜Hg 이하인 남성의 경우 29%만 대사증후군이 나타났지만, 62㎜Hg 이상에서는 52%가 대사증후군으로 위험도가 1.8배 더 높았다. 여성의 경우도 44㎜Hg 이하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45%였으며, 65㎜Hg 이상에서는 70%로 위험도가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
권유진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혈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맥압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노화 외에도 교감신경, 부신호르몬, 인슐린 등 대사증후군과 관련 있는 인자들도 혈관 탄력도에 영향을 미친다”면서 “수축기-이완기 협압차가 크거나 갑자기 변하는 것은 대사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이용제 교수는 “맥압은 일상에서 손쉽게 측정할 수 있게 때문에 평소에 주의 깊게 살펴보고 비만, 식생활 습관 등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연구결과는 국제당뇨병협회 공식 학술지 ‘다이어비츠 리서치 애드 클리니컬 프랙티스(DRCP)’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