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임명' 찬성 62%, 대구경북서도 '찬성' 우세 [리얼미터]

입력 2017-06-12 10:19 수정 2017-06-12 10:21

청문보고서 채택을 두고 야당의 반대에 직면한 강경화 외교장관 후보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와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에 대해 국민 과반 이상인 56.1%가 ‘국정 정상화를 위해 야당이 반대하는 인사에 대해 임명을 강행해도 된다'는 의견을 보였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는 CBS 의뢰로 지난 9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8923명 가운데 505명의 응답을 받은 결과(무선 80% 무선 20% 전화면접 및 자동응답 혼용방식에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플러스마이너스 4.4%포인트) ‘야당의 반대로 청문보고서 채택이 무산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대통령이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국정 정상화를 위해서 임명을 강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56.1%로 나타났고, ‘여야 협치를 위해서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의견이 34.2%를 보였다고 12일 밝혔다.

계층별로는 민주당 강세지역인 수도권, 호남 그리고 부산, 경남 그리고 연령별로는 40대 이하, 지지정당별로는 민주당 그리고 정의당 지지층,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진보에서 임명 강행 여론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 3당에서 자진사퇴하거나 문재인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힌 강경화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찬성 의견이 62.1%로 임명 반대 의견 30.4%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왔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과 충청 등 모든 지역에서 임명 찬성 의견이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 30, 40대에 이어 50대까지도 찬성 의견이 우세했다. 또 정당별로는 민주당, 정의당 지지층, 또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 중도층에서 찬성 의견이 높았고, 반면 60대 이상 보수층 또 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지지층에서는 반대가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CBS 홈페이지 캡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평가도 소폭 반등해 긍정적인 평가가 여전히 80%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일과 7~9일 총 4일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022명을 조사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 비율이 78.9%로 전 주 대비 0.8%포인트 늘었다.

다만 같은 기간 부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 비율도 0.5%포인트 늘어 14.7%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집계된 부정 평가 비율 중 가장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여당 지지도는 다소 하락했다. 반면 국민의당을 제외한 야당들은 지난주보다 다소 상승세를 나타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전 주 대비 1.4%포인트 내린 54.2%를 기록했다. 자유한국당은 1.3%포인트 올라 14.3%를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야당들은 모두 10% 미만 지지율을 나타낸 가운데 국민의당은 전 주보다 0.7%포인트 내린 7.3%, 정의당은 0.7%포인트 오른 6.7%를 기록했다. 바른정당은 전 주 대비 0.6%포인트 오른 5.9%로 원내 정당 중 지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