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에 등록된 반려동물이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1일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실시한 동물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조사는 '2016년 동물 등록, 유기동물 관리 등 동물보호·복지 실태'란 이름으로 진행돼 왔다.
정부는 동물의 보호와 유실·유기 방지 등을 위해 2014년부터 주택에서 기를 경우 '동물등록'을 의무화했다. 지난해 말 현재 등록된 동물은 모두 107만 마리로 집계됐다. 지난해 새로 등록된 개는 9만1509마리로 전년(9만1232마리)과 비슷한 숫자였다.
버려지거나 잃어버린 동물은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8만9732마리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 2014년엔 8만1200마리, 2015년엔 8만2100마리였다. 개가 6만3600마리(70.9%), 고양이 2만4900마리(27.8%), 기타 1200마리(1.4%) 순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구조활동으로 구조된 동물이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주인을 잃은 동물이 보수적으로 잡아도 10만 마리는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동물보호센터로 온 동물 중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는 비율은 15% 남짓이었다. 절반가량은 센터에서 사망한다. 다른 가정에 분양되는 경우가 30.4%로 가장 많고 자연사(25.0%), 안락사(19.9%), 소유주 인도(15.2%) 순이었다. 지자체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114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7억3000만원(17.9%) 증가했다.
길고양이 중성화(TNR) 지원 사업은 지난해 3만3313마리를 대상으로 추진해 42억9400만원이 들었다. 1년 전과 비교해 길고양이 수는 7007마리(26.6%), 비용은 11억5500만원(36.8%) 늘었다.
지난해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287만9000마리로 전년 대비 37만2000마리(14.8%) 증가했다. 실험동물은 2014년 241만2000마리에서 2015년 250만7000마리, 2016년 287만9000마리로 꾸준히 느는 추세다. 설치류(263만3000마리)가 가장 많이 사용됐고 어류(11만7000마리), 조류(5만5000마리), 토끼(3만7000마리), 기타포유류(2만9000마리) 순이었다.
검역본부는 "반려동물 문화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동물보호 특별사법경찰제도의 도입을 추진해 동물학대에 대한 단속 및 처벌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