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개최된 서울시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에서 서울시 의원 4명만 불건전한 퀴어축제 개최 반대 의견을 제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박원순 서울시장의 의중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는 서울시 행정국장과 재생정책기획관은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남창진 의원(송파구)은 "회의 때 시민들의 공적 공간인 서울광장에서 퀴어축제를 개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고 찬성쪽에선 '승인을 안해 줄 명분이 없다'는 논리로 나왔다"면서 "40~50분간 양쪽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고 결국 투표로 결정하자고 해서 거수로 하자고 요구했다. 하지만 저쪽에서 비밀투표로 하자고 해서 찬성 7표, 반대 4표가 나오게 됐다"고 설명했다.
남 의원은 "투표에서 시의원 4명만 빼고 모두 퀴어축제 찬성의사를 밝힌 것 같다"면서 "지금 생각해보면 박 시장이 퀴어축제 개최를 승인해 주려고 광장운영위에 책임을 떠넘긴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든다"고 말했다.
이어 "애초부터 퀴어축제를 허가해 줄 것이었다면 상정도 하지 말고 박 시장 본인이 결정하면 될 문제였다"면서 "광장운영위원으로서 이용당한 느낌마저 든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박운기 의원(서대문구)도 "퀴어축제 개최를 찬성한 위원들은 그 행사를 불건전, 음란의 기준으로 바라보지 않고 신청 절차상 문제가 있느냐 없느냐의 잣대로 본 것 같다"면서 "서울광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개최하도록 유도해 달라고 부탁했지만 표결에서 황당한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주민발의 뿐만 아니라 시의회 내 퀴어축제를 반대하는 의원들을 통해 신청제에서 허가제로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개정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귀띔했다.
박호근 의원(강동구)도 "회의 때 다른 장소도 아니고 천만시민의 얼굴이자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얼굴인 서울광장에서 굳이 퀴어축제를 개최할 필요가 있느냐고 맞섰다"면서 "성적 자기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유치원, 초·중·고등학생이 퀴어축제를 보고 본받을 수 있다고 해서 분명히 반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무기명 비밀투표로 이런 결과가 나왔는데, 아마도 박 시장은 앞으로 핑계대기에 딱 좋을 것"이라면서 "박 시장은 아마도 '서울광장이 허가제가 아니라 신고제이며, 광장운영의 자문까지 거쳤기에 문제가 없다'고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명희 의원(비례)도 "나도 퀴어축제를 서울광장에서 개최하면 안된다고 반대표를 던졌다"며 "결과가 어이가 없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에 보낸 공문에서 광장운영위의 의견 수렴 후 서울광장 사용신청서 수리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서울광장은 시민의 건강한 여가선용과 문화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나와 있다. 박 시장은 서울광장을 시민의 건전한 문화 활동 공간으로 관리할 의무가 있다.
2015~2016년 퀴어축제위 측은 행사기간 동안 술과 성기모양의 과자, 자위도구, 성행위 사진 등을 판매했다. 일부 동성애자들은 반나체로 광장을 활보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