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지도쓰레기매립지에 조성된 월드컵공원이 공원 조성 후 동식물 종이 2.8배로 늘어나는 등 생태계의 보고로 빠르게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월드컵공원의 생태계를 식물, 야생조류 등 6개 분야로 나눠 모니터링한 결과, 1557종의 동식물이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공원 조성 전인 2000년 조사에서 559종이 확인된 것과 비교하면 16년만에 서식 동식물 종이 2.8배로 증가한 것이다.
시에 따르면 공원 조성 전 271종이던 식물은 지난해 687종으로 늘어났다. 억새, 모감주나무 등 353종은 공원 조성 이후 식재한 것들이지만 서울시호보종인 참통발, 긴병꽃풀 등과 한라산 남쪽 억새밭에 나는 일년생 기생식물인 야고 등의 자생도 확인됐다.
야생조류는 2000년 33종에서 75종으로 늘어났다. 박새, 물까치 등 텃새가 가장 많지만 겨울 철새들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지난해에는 황조롱이, 붉은배새매 등 천연기념물 4종과 새호리기, 새매 등 멸종위기종 5종이 발견됐다. 오색딱따구리 꾀꼬리 등 서울시보호종도 7종 확인됐다.
또 멸종위기종 맹꽁이가 하늘공원과 노을공원을 중심으로 수백 마리가 서식하는 등 양서류도 다수 집단 서식하고 있다.
육상곤충은 483종이 확인돼 2003년(233종)에 비해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에는 유리창나비, 자실잠자리 등 32종의 서식이 추가 확인됐다.
버섯은 63종이 발견됐는데 연속 출연종 비율은 10% 미만이다. 거미류는 93종이 출현했다.
김종근 서울시 서부공원녹지사업소장은 “쓰레기매립지에서 생태보고로 되살아나고 있는 월드컵공원의 생물종다양성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지소적으로 생태숲 만들기, 야생동물 서식환경 개선 등을 추진해 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