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시민들의 공적 공간인 서울광장에서 열릴 가능성이 있는 퀴어축제를 저지하기 위해 시민들이 발 벗고 나섰다.
주부인 이신희(41·여)씨는 7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가 다음달 15일 서울광장에서 퀴어축제를 열게 해달라는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의 요구를 거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씨는 지난해 불건전한 퀴어축제 개최를 저지하기 위해 9만1000명의 시민들로부터 서명을 받아 서울광장조례개정 청구를 제출한 바 있다.
이씨는 “2014년 서울 신촌에서 열린 퀴어축제부터 행사를 지켜봤는데 아이를 키우는 엄마 입장에서 자녀에게 결코 보여줄 수 없는 퇴폐적 행사였다”면서 “퀴어축제가 열린 서울광장에선 음란물이 넘쳐나고 음주 흡연이 버젓이 진행됐다. 성기모양 색칠 노트, 성기모양 과자, 자위도구까지 판매됐는데 횟수가 거듭될수록 불건전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퀴어축제는 시민들의 공적 공간에서 진행될만한 건전한 시민축제가 아니며 서울광장의 사용목적에도 엄격히 위배된다”면서 “광장운영위원들은 퀴어축제가 가부 논란도 있을 수 없는 불법 음란축제인 만큼 올바른 판단을 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학부모를 대표해 김수진 이수진 박은희 이현정 장현남씨도 마이크를 잡고 "퀴어축제는 자녀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절대 용납할 수 없는 행사"라면서 "광장운영위원들은 서울광장에서 불건전하고 부도덕한 동성애가 소개되지 않도록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참석자들은 '음란퀴어축제 스톱, 건전한 시민축제 오케이'를 외쳤다.
이씨는 기자회견 후 2015~2016년 퀴어축제 때 옷을 벗고 서울광장을 활보한 동성애자들의 사진과 당시 판매됐던 여성 성기모양의 과자, 자위기구, 음란한 사진엽서, 음란만화책 등의 자료를 광장운영위원회에 전달해 달라며 서울시에 서류를 접수했다. 제출 자료에는 서울광장 내 음주장면과 흡연, 물건판매, 애완견 반입 등 동성애자들이 퀴어축제 때 광장사용조례를 위반한 사진들도 첨부했다.
광장운영위원회는 오는 9일 회의를 개최하며, 박원순 서울시장은 광장운영위원회의 의견수렴 후 동성애자들의 서울광장 사용 수리 여부를 결정한다.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서울광장은 시민의 건강한 여가선용과 문화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명시돼 있으며, 박 서울시장은 서울광장을 시민의 건전한 문화 활동 공간으로 관리할 의무가 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