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이 7일 국회 인사청문회의 검증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보고서는 적격으로 통과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도덕적 결함을 이유로 김 후보자를 '부적격 인사'로 보고 있는 바른정당 입장과 대조적이다. 하 의원은 "성인군자 뽑듯이 하는 청문회" 방식을 정면으로 지적했다.
하티경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문재인정부가 조기에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 지금처럼 성인군자를 뽑듯 청문회를 하다가는 국정 혼란만 계속될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피해는 국민이 고스란히 받게 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김 후보자에 대해 "공정거래위원장은 윤리위원장이 아니다. 자본주의와 자유경쟁체제를 촉진하고 강화하는 그런 자리 아니냐. (김 후보자) 본인이 살아오면서 독점과 담합을 깨는 데 얼마나 충실하게 해왔느냐에 대한 부분은 사실 입증된 것 아니냐"라고 했다.
김 후보자 부인의 영어전문교사 취업 특혜 의혹도 "만약 후보자 본인이 개입했다면 심각한 문제지만, 본인이 직접 개입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부인 문제로 본인을 부적격 처리하는 것은 일종의 연좌제"라고도 지적했다.
하태경 의원은 페이스북에도 글을 올려 "김상조 후보자는 재벌개혁에 있어서도 대체로 균형된 시각을 가진 온건파임이 청문회 과정에서 확인됐다"며 "여당의 일부 강경 재벌해체론자들이 김 후보자를 온건하다고 비판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정도면 시장경제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이 아님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또 "위장전입 등 다른 의혹이 있지만 악성 부동산 투기 등은 아닌 것으로 확인된다. 이 정도 상황이라면 적격 의견을 주는 게 맞다"고 밝혔다. "도덕적인 흠결이 조금 있다고 능력 있는 사람을 쓰지 못하면 그 피해는 국민이 본다"면서 "그런 점에서 문 대통령이 제시한 5대 인사원칙을 절대화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청문회가 국정마비 제도였던 과거의 악순환을 이제는 끊어야 한다"며 글을 맺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