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6일 제 62회 현충일을 맞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무명용사의 탑에 참배했다. 나라 위해 목숨 바친 ‘이름 없는 순국선열’을 기리기 위해서다.
이날 행사는 국가유공자에 초점을 맞췄다. 문 대통령은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숨진 장병과 순국선열들의 충성을 기리자는 취지로 국가유공자들과 동반 입장했다. 국가유공자들을 배려하기 위해 그들의 좌석도 대통령 주변에 배치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5.18 민주화 운동 기념행사에서도 민주화 유공자 가족들과 함께 입장하며 그들을 배려했다. 공식행사 종료 후 5.18 유가족 김소형(37·여)씨와 함께 그의 아버지 묘소를 찾아가 직접 참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에서 “애국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모든 것”이라며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도 없고, 나누어지지도 않는 그 자체로 온전히 대한민국”이라고 말했다. “전쟁의 후유증을 치유하기보다 전쟁 경험을 통치수단으로 삼았던 편 가르기 정치를 청산하겠다”고도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6.25전쟁 당시 포병으로 복무하고 3대에 걸쳐 병역의무를 다한 박용규(88)선생와 아들 박종철(59)씨에 대한 국가유공자 증서 수여도 있었다.
박종철 씨는 소감을 전하며 “아버지가 6.25 참전하고 국가유공자 증서를 받지 못한 병역명문가 중 유일한 생존자”였다고 말했다. 이어 “아버지를 통해 전쟁 알고, 나라 위해 모든 것을 바친 분들 기억할 수 있었던 자신처럼 다음 세대에게도 그분들의 희생과 헌신이 자랑스럽게 기억될 수 있도록 나라가 그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형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