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정선 강원랜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협동조합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도시재생 추진사업 등에 대해 적극적인 대책 마련 및 집행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강원랜드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서는 협력업체 직원 1600여명의 직접 고용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법을 찾기 위해 지난 5월29일 ‘일자리창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발족시켰다.
이번 TF는 부사장 직속기구로 기획본부장을 팀장, 인사지원실장을 부팀장으로 하고 경영기획팀, 협력사상생팀, 인사팀, 직원행복팀 등 관련부서가 모두 참여했다.
또 ‘좋은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와 관련해 강원랜드는 지난 4월 총 12억원의 예산을 바탕으로 설립된 ‘도시재생 지원센터’를 본격 가동해 낙후된 지역의 환경을 총체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여러 주민 주도 사업들을 발굴해 내기로 했다.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항노화 천연식물 단지 조성’ 프로젝트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강원랜드는 과거 자회사 등에 대한 투자실패 사례를 거울삼아 단순한 제조업 또는 레저사업보다 협동조합 형태의 일자리 창출이 보다 미래지향적이라고 판단하고 2015년 말부터 고산지역에서 자생하는 벌개미취 등 특유의 천연식물을 재배하고 가공, 유통하는‘항노화천연물개발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강원랜드 함승희 대표이사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좋은 마을 만들기,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하는 항노화 천연물 단지 조성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강원랜드의 설립 목적에도 부합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새 정부가 대선공약에서 밝힌 정책의지를 계기로 폐광지역의 경제활성화를 실현하는 모범적인 공기업으로서의 강원랜드 위상확립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인천공항 인근 영종도 주민들은 “파라다이스시티가 지난 4월 1단계 공식 개장하고 이달 중에 미단시티 카지노 클러스터 1단계가 착공되는데도 아직 지역사회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상생방안이 구체화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강원랜드 상생전략 박차, 영종도 카지노는 상생전략 언제할까
입력 2017-06-04 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