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이어 인도도…"파리협정과 무관하게 깨끗한 지구 지켜야"

입력 2017-06-03 16:35
세계 3위 탄소배출국인 인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리 기후변화협정 탈퇴와 무관하게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이탈에도 불구하고 세계 1위 탄소배출국인 중국에 이어 인도 역시 환경의 편에 서기로 했다. 2위 탄소배출국은 미국이다.

 3일(현지시간) 인도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전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경제포럼에서 “파리협정이 있든, 없든 깨끗한 지구를 가질 우리 아이들의 권리를 빼앗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인도의 신념”이라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1일 트럼프의 파리협정 탈퇴 공식 선언과 관련해 어느 편을 들겠냐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모디 총리는 “이 주제는 미래 세대의 것이며 우리가 자연에서 필요한 것 이상을 사용할 권리는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인도의 경제 성장은 자연을 착취보다는 존중과 보존 및 사용에 기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는 파리협정에 따라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33~35%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늘릴 계획이다. 현재 재생에너지로 생산되는 전력은 12% 수준이다.

 모디 총리는 “인도가 기후 문제에서 책임 있는 국가가 될 것이며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제조업을 추구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지난달 30일에도 파리협정을 준수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기후변화 대응에 참여하지 않는 것을 ‘도덕적인 범죄 행위’로 규정했었다.

 중국 역시 지난 2일 유럽연합(EU)과 함께 파리협정 준수를 윙해 함께 노력하겠다는 취지의 성명을 발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같은 날 정례브리핑을 갖고 “중국은 관련국과 파리협정 시행세칙의 후속 협상을 함께 진행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호주 국립대학 기후변화연구소는 미국이 파리 협정에서 탈퇴하면 중국, 인도, EU등이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수혜를 입게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컨설팅업체 우드 맥킨지 역시 미국이 기후변화 대응 중심축을 이탈하면 미국 기업들이 관련 연구개발 센터를 아시아 쪽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