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기고] 소신 있는 선거문화 정립이 사회갈등 해소의 시작

입력 2017-06-03 11:09
대한민국의 제 19 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지난 5 월 9 일 막을 내렸다. 41.1% 의 득표율을 올린 문재인 후보는 단 몇 시간 만에 당선인의 신분이 아닌 대통령의 신분으로 집을 나섰다. 시대가 만들어 낸 새로운 권력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은 여러 매체를 통해 아름답게 그려지고 있다. 장미대선이라는 말 그대로 햇살은 따사롭고 , 향기는 짙다. 그러나 이처럼 아름다운 외관을 뽐내기 위해서 선거운동 기간 동안 드러난 가시 돋힌 갈등 해결은 새 정부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최우선적 과제로 주어져 희비의 명암을 드러내고 있다.


[청년기고] 소신 있는 선거문화 정립이 사회갈등 해소의 시작
박정환 국회 정책비서

나는 이번 선거운동 기간을 겪으면서 극명하게 드러난 정치적 갈등의 단초부터 해결하는 것이 이 과제의 첫 번째 시작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 정확히 말하면, 선거제도의 시스템적 부조화가 연쇄적인 갈등의 과정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그 과정은 의도된 정보가 양산되고, 특정 집단에 의해 가공되며, 통제할 수 없는 확산 수단으로 이어져 봉합하기 어려운 갈등의 씨앗을 뿌리게 된다. 이 과열된 경쟁의 과정은 정당으로 하여금 필요 이상의 재원을 낭비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 갈등의 과정의 첫 시작은 기초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예컨대 선거철이 다가오면 각종 언론 , 집단에서 선거여론조사를 의뢰해 공표한다. 법상 정당이나 후보자는 여론조사를 공표할 수 없도록 돼 있지만 편승효과 나 언더독 현상 (Underdog effect; 지지도가 뒤처지는 후보에게 표를 주려는 현상 ) 을 기대하는 지지 세력에 의해 대리로 자행되기도 한다. 선거가 마무리 되고 법적 처벌을 받는다고 할지라도 이미 표심에 영향을 준 뒤라는 점에서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양산 된 신뢰하기 어려운 지표들은 여러 집단에 의해 가공·유통된다. 가공이야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자라면 허위사실 (「공직선거법」 제250조) 에 해당하지만 않으면 되고 , 유통경로는 자동동보통신 (문자메시지 대량발송) 이외에 SNS 는 무제한 열려 있으니 전국적으로 퍼지는 것은 순식간의 일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고전적 형태의 정보전달방식 (문자메시지)은 카카오톡 등의 매체가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공직선거법」 상 규제는 사실상 무용지물이라고 볼 수 있는 셈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들로부터 나온다. 국민의 한 표, 한 표가 존중되고 장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짧은 기간의 대선에서 극명하게 나타난 사실은 그 소중한 한 표를 위해 선택할 국민들의 판단 기준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현장에서 차선 또는 차악을 선택하기 위해 투표를 하겠다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려올 때마다 민주주의의 근본이 흔들리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 선거제도의 패러다임은 ‘투표 할 권리를 장려’하는 것에서 벗어나 ‘스스로 선택할 권리’를 지키는 것으로 신속히 전환되어야 한다. 왜곡된 정보로 인해 ‘특정 후보를 당선되게 할 목적이 아닌 투표행위’가 이뤄지지 않도록 막는 것이 민주주의의 눈앞에 큰 과제로 놓여있다. 흔들림이 있는 표심을 소신 있게 지켜주는 것. 그것이 설사 사표 (死票)로써 표현되더라도 존중 해 줄 수 있는 선거문화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선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청년들의 의견을 듣는 ‘청년기고’ 코너는 다양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는 코너입니다.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셋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모든 기고는 수정 없이 게재하며 국민일보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청년기고 참여를 원하시는 분께선 200자 원고지 6매 이상의 기고문을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에게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청년기고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uthcolumn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