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첫날부터 청와대의 오전은 평소보다 긴장감이 흘렀다. 가계부채·가뭄 대책 등 긴급 처방이 필요한 현안이 산적한데다 국방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발사대 보고 누락 파문의 여진까지 계속된 탓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수보회의) 일정은 예정보다 앞당겨졌고, 비공개였던 문 대통령의 회의 모두발언도 공개발언으로 바뀌었다.
청와대는 1일 당초 오전 10시30분 예정이었던 수보회의를 30분 일찍 진행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오전에 30분 차이로 워낙 긴박하게 돌아가 수보회의를 앞당겼다”며 “보고안건에는 가계부채 대책 등 각종 민생현안 6~7개가 포함됐다”고 말했다.
당초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지 않을 예정이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날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줄 때 충분한 메시지를 전달했다”며 “회의 안건도 충분한 토의를 거친 뒤 결과를 발표하는 게 좋은 안건이라 모두발언으로 언급하기보다 회의 결과를 통해 메시지가 나가는 게 좋겠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이 총리 임명장 수여식에서 “헌법에 규정돼 있는 국무총리 권한을 보장하겠다”며 “민생현안을 잘 챙기고 당정 협의 뿐 아니라 야당과의 소통에 온 힘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지 않을 것이라던 청와대의 입장은 얼마 지나지 않아 바뀌었다. 청와대는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수보회의에서 문 대통령 모두발언이 있을 것”이라고 공지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