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정치 탕평 차세대… 현역 의원 후보자 지명에 담긴 '5가지 의미'

입력 2017-05-30 15:56 수정 2017-05-30 15:58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오전 행정자치부 장관 후보자에 김부겸 의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도종환 의원,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김현미 의원,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김영춘 의원을 내정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지명한 4개 부처 장관은 모두 현역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다. 출신 지역과 출신 대학도 모두 제각각이다. 내각 30%를 여성으로 채우겠다는 공약과 관련해 여성 장관 후보자도 포함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정자치부 장관에 김부겸 의원, 해양수산부 장관에 김영춘 의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도종환 의원, 국토교통부 장관에 김현미(이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각각 지명했다.

장관 후보자와 프로필과 과거 행적을 살펴보면 이번 인사 키워드는 민주당 의원이라는 점과 지역 탕평, 여성, 차세대 가능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와 서훈 국정원장 후보자 인준과 청문회 통과가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인지 인사청문회를 통과에 방점을 찍혔다. 선거를 통해 이미 검증된 재선이상의 의원들을 발탁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들 후보자들에 대해 “(위장전입 검증기준인) 2005년 7월 이후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살펴봤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나머지 공직자 인사 배제 기준 원칙도 특별하게 살펴본 건 사실”이라며 청문회 통과를 염두에 둔 사실을 인정했다.

다음으로는 ‘민주당 정부’인 점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 의원들을 대거 발탁한데 대해 이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정당정치를 통한 책임정치의 구현이란 대통령의 평소 철학이 반영된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인사를 발표하면서 김부겸 행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지방 분권과 자치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최고 전문가’라고 평했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문화적 통찰력을 지닌 인물로 다른 부처보다 시급한 숙제가 많은 문체부에 적임자’라고 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난해 여성의원 최초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직을 맡아 예산안 통과에 발군의 실력을 보여줬다’고 했고, 김영춘 해수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세월호 진상 규명 등 해양수산부 주요 과제 해결의 최고 적임자’라고 했다. 4명의 장관 후보자들 모두 책임정치를 실현할 적임자라는 것이다.

출신 지역과 계파 탕평 의미도 있다. 김부겸 후보자는 경북 상주, 김현미 후보자는 전북 정읍, 도종환 후보자는 충북 청주, 김영춘 후보자는 부산 출신이다. 특히 김현미 후보자는 전남 출신 이낙연 총리 후보자 등용으로 다소 소외됐던 전북을 배려한 인사로 보인다.

또한 지난 20대 총선에서 45년만에 대구에서 당선된 야당 의원인 김부겸 후보자와 부산에서 당선된 김영춘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통과하게 되면 국정운영 능력을 쌓게된다. 차세대 대선주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다. 김현미 후보자 또한 여성 지도자 급부상할 기회를 얻게됐다. 청문회를 통과하게 되면 사상 첫 여성 국토부 장관이 된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