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뭄 극복을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최근 가뭄 피해 우려 지역에 급수대책비 40억원을 지원한 데 이어 모내기 이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특별교부세 70억원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저수율이 ‘경계’ 단계에 도달한 보령댐은 공급량 일부를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하는 급수체계 조정을 추진한다.
정부는 29일 “모내기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43%가 완료된 상태이나, 향후 강수량이 부족할 경우 논 물마름 등 가뭄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모내기 이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특별교부세 70억원을 긴급 지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18일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지역에 40억원을 추가 지원해 영농급수 대책을 추진했다. 향후 가뭄이 심화될 경우 가뭄대책비 93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예비비 지원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5월 강수량은 158㎜로 평년 282㎜의 56% 수준에 그친 데다 6∼8월의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업용수도 전국 저수지 평균 저수율이 61%로 평년(75%)보다 낮다. 특히 경기 남부지역과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 상황이 심해지고 있다.
충남 서부 8개 시‧군에 용수를 공급하는 보령댐 수위는 지난 3월 25일 ‘경계’ 단계에 도달했다. 향후 강수량이 부족할 경우 6월 말이면 ‘심각’ 단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다음달 1일부터 보령댐의 공급량 일부를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토록 급수체계를 조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선제적으로 봄 가뭄 대책을 추진해 평균 저수율을 평년대비 104%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올 들어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용수가 부족해지자 ‘관계부처 합동 가뭄 TF’ 외에 국무조정실의 ‘통합물관리 상황반’을 추가 운영 중이다.
정부는 “가뭄 해소시까지 관계기관이 긴밀히 협력하여 가뭄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