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수가 3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가 29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지자체 공무원 수는 총 30만3401명이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4만9875명(16.4%)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시 4만9317명(16.3%), 경북도 2만5413명(8.4%)의 순이었다.
지방공무원의 평균 연령은 43.3세이고 평균 계급은 7급, 평균 근무연수는 16.4년으로 나타났다.
민선 지방자치가 출범한 1995년부터 최근 20여년 간의 시도별 공무원 수 변화를 살펴보면 인구가 늘어난 경기도가 3만4729명에서 4만9875명으로 43.6% 늘었다. 인천(24.8%), 대전(15.7%)도 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서울시는 5만3956명에서 4만9317명으로 8.6% 줄었고 경남(-8.2%), 전남(-5.0%), 전북(-2.3%)도 감소했다.
직종별로는 소방공무원이 같은 기간 2만440명에서 4만3786명으로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 신규로 채용된 자치단체 일반직공무원은 1만6203명이고 합격자의 평균연령은 28.5세였다. 일반직 공무원의 공채 여성 합격자수는 2005년 여성합격자가 50%를 돌파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에는 58.2%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베이비부머 세대(1955~63년생)의 은퇴 급증으로 인해 지자체의 신규채용계획 인원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향후 4년간 정년퇴직 예상인원은 3만1994명이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인사통계를 정확히 분석해 미래 공무원의 인사정책을 선제적·과학적으로 수립할 예정”이라며 “데이터에 기반한 지방인사제도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