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각종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에는 이언주 부대표가 정치적 입장에 맞춰 표현의 자유를 해석한다고 비판하는 글이 계속 올라왔다. 이언주 부대표는 26일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특정 세력이 청문위원에게 문자를 보내고 있으니 조사해봐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언주 부대표는 대통령 선거를 보름 앞둔 지난달 24일 '문재인 치매설' 유포자 처벌 문제와 관련해 "법적 강제 수단을 동원해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에 재갈을 물리는 탄압"이라며 힐난했다. 4월 초 더불어민주당에서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겼던 이언주 부대표는 안철수 후보 선대위 뉴미디어본부장을 맡았다.
네티즌들은 시민이 정치적 사안에 직접 입장을 밝힌다는 점에서 '문자'와 '인터넷 글'은 비슷한 행위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두 가지를 바라보는 이언주 부대표의 입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에 글을 올리는 행위가 개인 신상을 알아내기 더 어렵고, 확산이 더 쉽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청문위원에게 문자를 보내 항의하는 건 신원을 드러내고 하는 행동이니 오히려 더 문제가 없는 것 아니냐"는 네티즌도 적지 않았다.
한 네티즌은 "표현의 자유를 수호하는 이언주 부대표가 자신들을 향한 비판은 받아들이기 힘든 모양"이라며 "표현의 자유도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냐"고 지적했다. "치매설 유포를 표현의 자유라고 감싼 이언주 부대표가 국민 문자 항의에 대해서는 왜 이렇게 까칠한지 모르겠다" "항의 문자를 최소 1년 동안 보내야 '치매 유포설'을 퍼트린 것과 비슷해지지 않을까" 등의 의견도 나왔다.
4월 24일 포털사이트에 출고된 오마이뉴스의 <이언주 "문재인 치매설 처벌은 표현의 자유 억압"> 제목의 기사에는 한 달이 지난 28일 오후 현재까지도 '치매설은 표현의 자유고 문자 항의는 테러냐'는 비판 댓글이 달리고 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