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으로 인해 직무정지를 당한 기간 동안 지출된 35억 원의 특수활동비를 놓고 청와대와 총리실이 설전을 벌이고 있다.
JTBC는 27일 청와대 예산을 관리하는 총무비서관과 총리실의 총무기획관의 말을 인용해 35억원 특수활동비 집행출처가 불분명해 감사나 수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보도했다.
이관직 전 총무비서관은 “탄핵 기간, 박 전 대통령이 사요한 특수활동비는 없다”며 “황교안 전 권한대행과 한광옥 전 비서실장 이하 직원들이 사용한 금액”이라고 JTBC에 말했다.
이 비서관은 지난해 말부터 청와대 예산을 챙긴 인물로 특수활동비를 누가 얼마나 썼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
이 비서관은 "청와대가 지출한 금액 35억 원 안에 특수활동비 뿐 아니라 특정업무 경비도 포함돼 잇는데 이 금액은 비서관 이하 직원에게 30만원 씩 정액 지급되고 증빙도 있다"고 매체에 설명했다.
이에 대해 총리실은 사실 무근이라며 반박했다. 임충연 총리실 총무기획관은 JTBC에 “청와대 특수활동비를 황 전 대행이 무슨 수로 집행하고 썼겠냐”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반박했다.
특수활동비 35억원이 지출된 기간은 박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난해 12월 9일부터 청와대를 떠난 3월12일까지로(70일간) 추정된다.
이를 일수로 따지면 하루 평균 5000만원 가량이 사용된 셈이다. 2017년 대통령 비서실의 특수활동비 예산은 모두 161억원으로 5월 현재까지 127억원이 남아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