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경과보고서 채택에 진통이 예상된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고위공직자 인사원칙에 어긋난다며 사과와 대안제시를 촉구했다.
자유한국당은 26일 이 후보자에 대해 '부적격' 입장을 분명히 했다. 경대수 간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정성호 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국민의당 김광수, 바른정당 김용태 간사와 회동을 가진 후 "청문회결과 보고서를 채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경 간사는 "이번 청문회에서 가장 기준이 된 게 대통령이 공약한 5대 비리에 해당되는 사람은 고위공직자로 임명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그게 적폐청산의 주요 항목으로 들어가 있는데 이번에 총리 청문회에서 위장전입 사실을 후보자가 시인했다" 주장했다.
그는 "명백히 여기(공약)에 위반되는 것"이라며 "국정사안이 시급해서 그걸 지적만 하고 넘어가는 게 어떠냐는 의견도 있었는데 김상조, 강경화 후보자도 위장전입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바른정당도 이날 이 후보자가 문 대통령이 공약했던 고위공직자 인사에 원칙에 어긋난다고 밝혔다.
오신환 대변인은 이날 오전 논평을 통해 "공약집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첫 총리 후보자의 부인이 학교 배정을 위해 위장 전입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문 대통령이 대국민 약속을 파기하지 않는 한 이 총리 후보자는 자진사퇴하거나 총리지명을 철회해야 하는 것이 옳지만 무엇보다 이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을 먼저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 스스로 인사원칙을 위반한다면 향후 내각 구성에 있어 일대 혼란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행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곧 바로 추락할 것"이라며 "결자해지 차원에서라도 문 대통령은 자격미달 총리후보 지명에 대해 겸손히 국민 앞에 사과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순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병역 면탈 ▲부동산 투기 ▲탈세 ▲위장전입 ▲논문 표절을 5대 비리로 규정하고 이에 해당되는 인사는 고위 공직에서 원천 배제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 후보자 인사청문특위는 이날 오후 2시에 정 위원장과 4당 간사 회의를 재차 갖고 이 후보자의 청문보고서 통과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