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연사로 나선 대학 졸업식에서 톡톡히 망신을 당했다. 그의 연설 시작과 함께 100여명의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항의와 저항의 의미로 졸업식장을 박차고 나와 버린 것.
미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펜스 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인디애나주 소재 노터데임대학 졸업식에 참석해 연설하던 중 청중의 ‘퇴장 시위’를 겪었다. 가톨릭계 학교인 이 대학은 신임 대통령을 졸업식 연사로 초청하는 전통을 이어왔는데, 올해 졸업식을 앞두고선 학생과 교직원을 중심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거부하는 청원 운동이 벌어졌다.
결국 대학 당국은 ‘꿩 대신 닭’ 격으로 인디애나 주지사를 역임한 펜스 부통령으로 연사를 바꿨지만, 학생들은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분노의 표시로 ‘대체 연사’ 역시 반기지 않았다. 앞서 미 대학생 단체 연합은 펜스의 정책이 사회 취약 계층을 배제시켰다며 항의 차원의 퇴장 시위를 제안한 바 있다.
이날 펜스의 연설 도중에 부모님과 함께 퇴장한 졸업생 카산드라 디마로는 현지 언론에 “트럼프의 정책으로 삶에 악영향을 받은 우리 모두를 위한 연대의 표현이었다”고 자신의 행동을 설명했다.
대학 관계자들도 학생들의 퇴장 계획을 미리 알았지만 말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폴 브라운 공보 담당 부총장은 “노터데임대학은 과거에도 대통령과 부통령에 대한 시위가 열렸던 곳”이라며 “학생들이 행사를 방해하지 않는 한 시위는 허용된다”고 밝혔다.
한편 졸업생을 비롯한 청중들의 ‘퇴장 시위’를 목격한 펜스는 멋쩍은 표정을 지으면서도 연설을 이어갔다. 그는 이날 트럼프가 순방 중 무슬림 국가 정상들에게 행한 연설에 찬사를 보내며 정치적 올바름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장을 펼쳐 또다른 야유를 받았다.
이날 펜스에 앞서 졸업생 대표로 연단에 선 칼레브 조슈아 파인은 “무슬림을 희생양으로 하는 정책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트럼프가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을 실제로 추진하고 있는 것에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 펜스를 머쓱하게 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