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평, 능력, 여성’
문재인 대통령의 21일 경제와 외교안보라인 인사는 이러한 세 가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에서 경제금융비서관을 지낸 김동연 아주대 총장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내정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제 과외교사인 김광두 서강대 석좌교수를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에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과 사제지간인 장하성 고려대 교수를 청와대 정책수석에 임명했다. 그리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인연이 있는 강경화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보를 첫 여성 외교장관으로 지명했다.
이날 인사에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문 대통령과 가깝거나 인연이 있는 인사가 드물다. 새 정부가 기치로 내세운 대탕평과 닿아있다. 박근혜와 안철수 경제교사를 경제 브레인에 앉히고, 반기문 측근에게 외교를, 심지어 MB(이명박) 비서관에게 경제 수장에 내정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직접 인사를 발표하며 능력을 중시했다고 밝혔다. 능력은 탕평과 함께 지금까지 인사를 관통하는 키워드이기도 하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 등 깜짝 놀랄 파격 인사에도 능력 평가가 뒤따랐다.
문 대통령은 경제 사령탑에 개혁적 보수 인사를 중용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를 지명하며 “청계천 판잣집 흙수저 출신으로 경제계, 학계, 정계에서 두루 인정받는 유능한 경제전문가인 만큼 위기의 한국경제를 도약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고 소개했다.
장하성 정책수석에 대해서도 “과거 재벌·대기업 중심의 경제패러다임을 사람 중심, 중소기업 중심으로 변화시켜 경제민주화와 소득 주도 성장을 함께 할 수 있는 최고의 적임자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김광두 부의장을 소개하며 “김 원장은 개혁적 보수를 대표하는 경제학자로 다소 다른 시각에서 정치, 경제를 바라보던 분이지만 경제문제도 합리적 진보와 개혁적 보수가 손잡아야 한다”며 “우리 경제가 가야 할 길이 성장이냐 분배냐의 이분법이 아닌 성장·분배의 선순환”이라고 강조했다.
여성도 문재인 정부 인사의 주요 키워드다. 이날 첫 여성 인사수석, 첫 여성 보훈처장에 이어 첫 여성 외교장관 지명자가 나왔다.
문 대통령은 외교부 장관 후보자로 강경화 유엔 사무총장 정책특보를 지명하며 “외교부 국장 이후 2006년부터 유엔에서 활동하며 국제 외교 무대에서 쌓은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 시기의 민감한 외교 현안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적임자”라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인사 발표를 통해 “비 외무고시 출신으로 첫 유엔 최고위직으로 임명됐다. 우리나라 최초, 최고 여성이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니는 외교전문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내각 구성에서 성평등이란 관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여러가지 큰 어려움, 외교 난제가 산적한 현실에서 강 후보자가 국제 문제 에서 큰 경험과 강한 추진력으로 대한민국 당면한 위기를 해소하고 외교 위상을 높이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조현옥 첫 여성 인사수석을 임명하면서 일단 초대 내각의 여성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0%로 꾸리고, 임기 내 ‘남녀 동수 내각’을 달성한다는 대선 공약 이행을 위한 시동을 걸었다. 파격 인사로 꼽히는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임명,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 내정으로 이어졌다. 이번 첫 여성 외교장관 인사로 여성들의 내각 참여에 신호탄이 올랐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