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오면 고속도로 교통량이 3.1% 감소하며 봄철 주말에 특히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공사(사장 김학송)는 최근 5년(2012~2016년) 동안 고속도로 교통량 데이터를 활용해 기상·계절과 고속도로 교통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도공이 기상과 교통량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비·눈·기온과 모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간 비가 온 날(서울 기준) 일평균 교통량은 396만8000대로 맑은 날 교통량 409만4000대에 비해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감소한 시기는 봄철로 4.2%가 감소(맑은 날 404만3000대, 강우 시 387만5000대)했다. 특히 봄철 주말 나들이 교통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으며 토요일 5.6%(맑은 날 432만4000대, 강우 시 408만대), 일요일 5.4%가 감소했다.
비보다는 눈이 온 날 교통량이 더 큰 폭으로 줄었다.
12월부터 2월까지 3개월간 눈이 온 날(서울 기준) 일평균 교통량은 346만8000대로 맑은 날 교통량 367만8000대에 비해 5.5% 감소했다.
가장 많이 감소한 시기는 월별로는 눈이 오는 날이 가장 많은 12월로 9.4%가 줄었으며 요일별로는 출퇴근 교통량과 여행 교통량이 혼재한 금요일로 7.1%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변화에 따른 교통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강우량과 강설량이 10㎜ 증가할 때마다 교통량은 각 3만3000대와 7만7000대씩 감소했으며, 기온이 1°C 증가할 때마다 교통량은 1만4000대씩 증가했다.
교통량이 가장 많은 계절은 단풍여행철인 가을로 나타났다.
계절별 일평균 교통량은 가을 413만5000대, 여름 401만5000대, 봄 399만2000대, 겨울 365만1000대 순으로 많았다.
계절별 평일 교통량 대비 토요일 교통량을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이 증가한 시기는 봄 토요일로 10.1%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유병철 한국도로공사 교통센터장은 “이번 고속도로 교통량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상변화에 따른 교통량변화를 미리 가늠할 수 있게 됐다”며 “장거리 운전 시에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천=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비 오면 고속도로 교통량 3.1% 감소한다”, 한국도로공사 기상·계절과 교통량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입력 2017-05-17 0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