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운영비를 자기 집 물품을 사는 데 사용하거나 서류를 조작해 빼돌려 온 구립어린이집 원장이 서울시 실태 점검에서 적발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3월 실시한 구립어린이집 보조금 관리실태 점검에서 A어린이집 원장이 수년간 1억원이 넘는 운영비를 횡령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1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 원장은 어린이집 운영비를 자기 집 식자재를 구매하거나 비데와 정수기를 설치하는 등 사적인 용도로 사용했다. 또 이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영수증이나 거래명세표 등 지출증빙서류를 위조했다.
시는 이에 관리감독관청인 해당 자치구를 통해 관련 어린이집 원장을 대기발령 조치하고 보육료 횡령과 사문서 위조 등의 혐의에 대해 수사기관에 수사의뢰했다.
시는 아울러 유사한 사례가 있을 것으로 보고 국공립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시·자치구 합동점검을 실시키로 했다.
시와 자치구의 감사·보육담당 공무원과 서울시 공익감사단 민간전문가 등 54명을 투입해 16일부터 26일까지 서울소재 국공립어린이집 48곳에 대해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시 공익감사단은 공무원 중심 감사활동의 한계를 보완하고 시민의 눈높이에서 시정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시 감사위원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제도다. 민간위탁 및 보조금 집행, 안전 분야 등의 관련 민간전문가 200명이 위촉돼 활동하고 있다. 이번 합동점검에는 보육·회계 등의 전문가인 공익감사단 12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점검에서 회계부정이나 횡령행위를 중심으로 예산의 목적 외 사용,지출증빙서류의 허위 작성, 원장의 보육교사 및 종사자에 대한 부당 처우 사례, 아동의 안전이나 학대 사례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방침이다.
최정운 서울시 감사위원장은 “이번 국공립어린이집 운영실태 시·구 합동점검을 통해 공통지적 및 불합리한 사항에 대해서는 관련제도를 개선해 서울시 핵심시책인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이 양적 시설확대와 더불어 질적 운영내실화에도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시 보육담당관에서는 ‘어린이집 종합관리방안’ 수립 TF팀을 구성·운영 중에 있으며 6월 중으로 종합적인 어린이집 관리 및 개선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운영비를 ‘내맘대로’ 구립어린이집 원장 적발…서울시, 민간전문가와 손잡고 합동점검 나선다
입력 2017-05-15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