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정윤회 문건' 故 최경락 경위 사건 재조사

입력 2017-05-15 14:37
기자들에게 둘러싸인 우병우 전 수석. 국민일보 DB

비선실세 의혹이 담긴 감찰보고서 '정윤회 문건'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다가 사망한 故 최경락 경위 사건에 재조사가 진행된다.

서울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15일 "고(故) 최경락 경위 사망 사건을 배당 받아 수사 방향을 검토 중"이라며 "이번 주 내로 최 경위의 유족들을 불러 조사한 뒤 탄원서 내용을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정훈 서울경찰청장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청사에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장 수사에 착수하는 상황은 아니다. 현재 사건 관련 판결이나 관계자 징계 의결서 등을 수집해 내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최 경위와 함께 근무했던 관련자에 대한 재판 3심이 진행 중이다. 1, 2심 판결문 등을 받아 볼 수 있다"며 "혐의가 있으면 내사를 결정하고 진행하겠다. 내사를 해보고 범죄 혐의가 있으면 수사를 진행 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은 최 경위가 문건을 유출 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춰 내사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서울청 관계자는 "탄원서 내용에 따라 최 경위의 문건 유출 여부를 살펴볼 것"이라며 "유가족들은 탄원서에서 최 경위가 유출하지 않았는데 유출했다고 억울해 하고 있다. 이 부분을 확인해달라는 것이지 다른 건 없다"고 말했다.

서울경찰청 정보분실에서 근무하던 최 경위는 '정윤회 문건' 유출에 관한 검찰 수사를 받던 도중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문건은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이 '靑비서실장 교체설 등 VIP측근(정윤회) 동향'이라는 제목으로 작성해 당시 김기춘 대통령비서실장에게 보고한 감찰보고서였다. 문건에는 최순실(61·구속기소)씨의 전 남편인 정윤회씨와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문고리 권력 3인방' 등이 비선실세로 국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담겼다.

2014년 11월 문건 내용 일부가 세상에 알려지면서 검찰 수사가 이뤄졌다. 진위여부와 유출 경로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발언 이후 초점은 문건 유출 경위에 맞춰 진행됐다.

최 경위는 문건 유출자로 지목돼 검찰 수사를 받다가 같은 해 12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최 경위의 유서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회유가 있었음을 암시하는 내용이 적힌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민정수석은 우병우(50)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다.

'정윤회 문건' 유출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던 중 스스로 목숨을 끓은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최 모 경위의 유족이 공개한 유서 중 일부. 사진=뉴시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