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세 4월에도 꺾였다…"넉달째 주춤, 안심은 일러"

입력 2017-05-15 12:00

가계부채 증가세가 1~3월에 이어 4월에도 꺾였다. 그러나 은행권 가계부채 규모는 계속 확대되고 있어 안심하기 이른 상황이다.

금융위원회는 4월 모든 금융권을 통틀어 가계대출 증가액이 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 증가액보다 1조7000억 줄어든 수치다. 지난 1분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2조6000억원 감소했었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4개월째 둔화된 것이다.

그러나 은행권 가계부채는 계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어 가계대출이 한국 경제의 주요 리스크로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융위에 따르면 4월 중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는 4조6000억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기의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 5조2000억 원보다 줄어든 수치지만 올 1~3월 가계대출에 비해선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했던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을 보면, 1월에 691억원, 2월에 2조9315억원, 3월에 2조9308억원이 늘었다.
  
금융위는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를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이사 수요가 많을 때인 데다 중도금 대출 집행으로 집단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금융위는 5월 이후 아파트 분양 물량 확대 등에 따라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밀착 관리 감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정부는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가이드라인으로 가계부채 관리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문재인 대통령은 가계부채 대책으로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150%를 넘지 않도록 하겠다고 공약한 상태다.

가계대출의 사각지대로 꼽히는 자영업자 대출 관리도 관건이다. 이는 통계에 가계부채로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가계부채와 마찬가지다. 다만 DTI나 LTV 환원은 부동산 경기를 급랭시킬 수 있어 신중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안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