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승창 청와대 사회혁신수석은 ‘재벌 개혁’을 외쳤던 사회활동가 출신이다. 서울시 정무부시장 시절 박원순 시장의 ‘복심’으로 불릴 만큼 두터운 신임을 얻었고,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문재인캠프에 합류해 승리를 견인했던 인물 중 하나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청와대 비서실에 사회혁신수석을 신설하고 하 수석을 임명했다. 하 수석은 1961년생으로 서울 출신이다. 연세대에서 사회학 석사과정을 밟았다.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내기 전까지 오랜 기간을 시민단체에 몸담았던 진보적 사회활동가. ‘정부 예산’과 ‘재벌 구조’는 하 수석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분야다.
하 수석은 1997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정책실장을 맡아 재벌개혁을 요구했고, 1999년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으로 독립해 정부의 예산 활동을 감시했다. 2008년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09년 ‘희망과 대안’에서 각각 운영위원장을 지냈다.
박 시장의 2011년 보궐선거 당선, 2014년 지방선거 연임 과정에서 하 수석은 선거 총괄을 맡아 승리를 이끌었다. 이런 하 수석에 대한 박 시장의 신임은 두터웠다. 박 시장은 지난해 1월 하 수석을 서울시 정무부시장으로 발탁해 시정을 함께 수립하고 실행했다.
하 수석은 대선을 2개월 앞둔 지난 3월 문재인캠프로 합류했다. 당시 문재인캠프는 “사회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정책 생산과 인재풀 형성을 진행할 인물”로 하 수석을 소개했다. 사회혁신위원회는 문 대통령 집권 사흘 만에 청와대 비서실 재편에서 사회혁신수석으로 거듭났다.
사회혁신수석은 공동체 발전과 국민통합을 견인하는 역할을 맡는다. 문 대통령이 참여정부 시절 지냈던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에서 ‘공동체 경제’로 분야를 확장한 개념이다.
시민사회수석이 정부와 시민단체의 네트워크 구축에 집중했다면, 사회혁신수석은 소통에 국한하지 않고 민간 부문에서 이뤄지고 있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 다양한 혁신 활동을 포괄해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시민사회와 소통해 혁신적 활동을 수렴하면서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고 경제성장의 결과물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과제가 하 수석에게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 수석이 사회활동가 시절 외쳤던 재벌개혁은 문 대통령의 개혁 과제와 일맥상통한다. 문 대통령은 앞서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을 임명해 검찰개혁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