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금실, 조국 민정수석 저격… 뜨거웠던 페북글 논란보니

입력 2017-05-12 00:06 수정 2017-05-12 08:11

강금실 전 법무장관의 페이스북이 뜨겁다.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노무현 정부 초대 내각의 40대 최초 여성 법무장관으로 사법 개혁을 이끌었던 강 전 장관이 문재인정부 검찰 개혁의 선봉장인 조국 신임 민정수석을 겨냥한 글을 남기면서 후끈 달아올랐다. 문재인정부의 성공을 비는 마음에 약간의 우려를 전한 것인데 논란으로 번졌다.

네티즌들은 강 전 장관의 페북에서 갑론을박을 벌였고, 강 전 장관은 욕설이 많이 올라온다며 친구 끊기를 선언했다. 논란이 수그러들자 “넘(너무) 경솔했나봅니다”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논란은 지난 10일 새 정부 신임 민정수석에 조국 서울대 교수가 내정됐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직후 페북에 올린 글에서 시작됐다. 이 소식을 접했는지 모르겠지만 강 전 장관은 지난 6일 더불어민주당이 홍익대 앞에서 진행한 문재인 후보 프리허그 캠페인 진행자였던 조국 교수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조 교수는 프리허그 행사에서 ‘한 번도 남자친구가 없었던 여성분 나오시라’ ‘진심으로 모태솔로냐’ ‘흥분하지 마시고'라는 발언을 했다. 당시 국민의당은 해당 발언에 대해 “사회자가 계속해서 여성들을 모욕하고 성적 수치심을 자극하는 발언을 쏟아냈다”고 비판했다.

강 전 장관은 “이건 이미 지나간거긴 하지만, 프리허그 캠페인 자체가 좋지 않아 보였고요”라며 관련 기사를 공유했다. 그러면서 “집권여당의 문화의식 일깨우기 위해 올립니다. 남성들이 가장 실수하기 쉬운 발언이 젠더에 관한 것이니. 민감한 부분부터 절제하고 품위를 지킵시다”라고 걱정을 드러냈다. 이날은 문 대통령이 취임 첫날이었다. 이 글은 강 전 장관이 대통령 주변 향해 던진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다.


네티즌들은 게시글에 댓글로 갑론을박을 벌였다.

강 전 장관의 글을 비판하는 쪽은 “‘모태솔로 맞나 ' '흥분하지 마시고' 이 발언은 고민정 아나운서가 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프리허그 한 건 뭐냐, 남자가 하면 젠더인식에 문제가 있는거예요?”라고 주장했다.

옹호하는 쪽은 “문재인정부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있기 때문에 이런 지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차기 정부는 소수자의 인권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성숙함을 갖춰 다양성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 “미안하지만 진정 이 정부의 성공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적이다”고 했다.


강 전 장관이 조 민정수석을 비판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강금실’이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갑론을박은 11일까지 계속됐다. 논란이 뜨거워지면서 욕설도 올라왔다. 강 전 장관은 “페이스북. 글에 욕설을 올리는 분들이 너무 많아요. 부득이 이제부터 친구끊기를 가차없이 하겠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라는 글을 올려 경고했다.

이틀간 계속된 논란은 이날 오후가 되자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강 전 장관은 “넘 경솔했나 봅니다. 한가지 생각만 하고 올리는게 아니었는데”라고 하면서도 “댓글에 양론은 있었으나 다 적절하시고 토론광장 같았어요”라고 했다. 이어 “욕설을 한 네티즌 몇 명을 친구 삭제했다”면서 “이틀 됐으나 정상으로 돌아 온 것 같아 참 편하다”고 적었다.


참여정부 초대 법무장관을 지낸 강 전 장관은 당시 취임 일성으로 ‘사법 개혁’을 말했다. 조 신임 민정수석도 취임 일성으로 ‘검찰 개혁’을 외쳤다.

검찰 개혁의 핵심은 수사권 기소권 조정과 공직비리수사처(공수처) 신설이다. 특히 공수처는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추진된 과제다. 강 장관도 신설을 준비했지만, 송광수 당시 검찰총장이 직접 반기를 들어 무산됐다. 이를 이어받은 조 민정수석은 공수처 신설까지 언급하며 강한 개혁의지를 드러냈다.

조 민정수석은 “공수처가 노 전 대통령 때부터 있었던 이야기다. 문 대통령의 공약이자 소신이기도 하다”면서 “검찰을 죽이는 것이 아닌 진정으로 살리는 길이라 믿고 있다”고 했다.

한 네티즌은 강 전 장관 페북에 이런 댓글을 남겼다. “강금실과 조국 두 분의 케미가 기대된다.” 두 사람은 같은 길 위에 있다. 한 사람은 성공하지 못했지만 경험이 있고, 다른 사람은 그 길 위에서 막 출발한 상황이다. 촛불정국과 조기대선을 거치며 국민들은 검찰 개혁을 외쳤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