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의 김백준, 박근혜의 이재만, 문재인의 이정도.
세 대통령이 기용한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성격을 각각 정의하면 '집사 김백준' '문고리 이재만' '공무원 이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인선을 일부 발표하며 '총무비서관'에 이례적인 인사를 기용했다. 기획재정부 행정안전예산심의관을 지낸 이정도 비서관이 청와대 '총무'를 담당하게 됐다. 총무비서관은 청와대 인사와 재정을 총괄한다. 청와대 직원 임면을 책임지고 예산을 집행하며 대통령 보좌 조직의 살림살이 꾸려가는 자리다.
과거 대통령들은 이 자리에 '가장 믿는 사람'을 앉혔다. 정치를 하면서 늘 지근거리에 뒀던 '최측근' 인사를 총무비서관에 발탁하곤 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엔 김백준씨가 총무비서관이었다. 이 대통령과 고려대 동문이며 오랫동안 'MB의 집사'로 불렸던 인사였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하며 총무비서관을 맡아 퇴임 때 이 대통령과 함께 청와대를 떠났다. 5년간 청와대에서 누구도 그의 일을 대신하지 못했다. '총무'는 늘 김백준씨였고, 정권 후반에 '총무기획관'으로 직급을 한 단계 높여 같은 일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정부 출범과 함께 '문고리 3인방' 중 한 명인 이재만씨를 총무비서관에 기용했다. 그는 정호성 안봉근 전 비서관과 함께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회에 진출할 때부터 보좌해온 인물이다. 역시 이명박 전 대통령처럼 '가장 믿는 사람'을 총무비서관에 앉힌 것이다.
반면 문재인 대통령은 정통 '경제공무원'을 총무비서관으로 발탁했다. 이정도 비서관은 '측근' '집사' '문고리' 등의 용어와 거리가 먼 기획재정부 공무원 출신이다. 1965년생이며 경남 합천 출신이고 창원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재정을 담당하는 자리에 맞게 재무 전문가를 앉힌 것 외에는 다른 '인연'을 찾아보기 어렵다.
'최측근'이 맡던 자리에 '공무원'을 앉힌 것은 '그간의 관행을 끊겠다' '투명한 청와대를 꾸려가겠다' '시스템에 따라 운용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수석비서관 인선을 조국 민정, 조현옥 인사, 윤영찬 홍보수석 순으로 발표했다. 이어 '총무비서관'을 소개하는 순서가 되자 그는 "오늘 특히 눈여겨봐주셨으면 한다"면서 이정도 비서관을 발표했다.
임 실장은 "청와대 인사와 재정을 총괄하는 막강한 총무비서관 자리는 대통령 최측근들이 맡아 온 것이 전례였지만, 문 대통령은 이를 예산정책 전문 행정공무원에게 맡겨 철저히 시스템과 원칙에 따라 운용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