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초대 민정수석에 조국(52)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내정된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역대 청와대 민정수석들은 대부분 검사 출신이었다는 점에서 비검사 출신 법학자 발탁은 매우 이례적이다.
문 대통령이 민정수석에 조 교수를 내정했다고 이날 연합뉴스가 복수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조 교수는 문 대통령의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당 혁신위원으로 활동하며 당 개혁의 틀을 마련했다. 이후 SNS와 지지 유세를 통해 문 대통령을 적극 지원해 왔다. 하지만 정치에 뜻은 없는 것으로 말해왔다.
대선 투표일인 9일 조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12년 대선 보다는 덜 했지만, 이번 대선도 온오프라인 일선에서 뛰었다”며 “‘학인’(學人)으로서의 삶을 사랑하는 제가 '직업정치인'이 될 리는 만무하겠지만, 언제나 '참여형 지식인'의 책임은 다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5일 김어준의 파파이스에 출연해서도 ‘정치 잘 할 것 같은데 할 생각 없느냐’고 묻자 에 “내 스타일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정치권 입문을 극구 사양해 온 조 교수가 민정수석을 맡게 된다면 문 대통령의 검찰개혁 의지에 조 교수가 화답한 결과로 보인다.
조 교수의 기용은 권력기관 독립을 강조해 온 과거 참여정부 시절 인사 스타일과도 관련있다. 당시 민정수석을 지낸 문 대통령과 전해철 의원, 이호철 전 수석은 검사 출신이 아니었다. 문 대통령과 전 의원은 변호사 출신인 반면, 이 전 수석은 법조인 출신도 아니었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