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 "5·18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새 정부 방침 중요"

입력 2017-05-10 13:44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2011년 2월24일 취임해 6년 넘게 자리를 지켜오며 5월 단체가 요구해온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기념곡 지정과 기념식 제창을 막아왔다.

국가보훈처가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공식 식순에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부의 방침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10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오는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다.

올해 기념식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국기에 대한 경례·애국가 제창·순국선열 및 호국영령과 5·18민주화운동 희생영령에 대한 묵념·헌화 및 분향·경과보고·기념사·기념공연 등 기본 식순에는 변화가 없다.

국가보훈처는 기념식 2~3일 전까지 공식 식순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서 식순 중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다.

국가보훈처 한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이)오늘 막 취임해 새 정부 구성이 안 된 상황"이라며 "아직까지 구체적인 이야기는 없다. 새 정부의 기본적인 방침이나 내용 등 정책 방향이 잡히면 그 이후에 (5·18기념식 식순 등을)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본적인 구성은 있지만 (5·18기념식에서)어떤 공연을 할지, '임을 위한 행진곡'은 제창인지 합창인지 등 그런 방법들이 여러 가지 바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동안 정부의 지침이나 정책 방향에 영향을 받아왔던 거냐'는 질문에는 "정부 기념식이기 때문에 당연하다. 새 정부 내에서(도) 기본 방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올해 37주년 기념식은 물론 앞으로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기 위해서는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의 방침과 결단이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의미다.


원래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민주화운동이 정부기념일로 제정된 1997년부터 2008년까지 공식 기념식에서 참석자 전원이 함께 부르는 제창 방식으로 불렸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취임 이듬해인 2009년부터 '임을 위한 행진곡'은 본 행사에서 제외돼 식전행사 중 하나로 합창단이 부르거나 제창이 아닌,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만 따라 부를 수 있게 됐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도 상황은 변하지 않았고 그 중심에는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이 있었다.

박 보훈처장은 2011년 2월24일 취임해 6년 넘게 자리를 지켜오며 5월 단체가 요구해온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기념곡 지정과 기념식 제창을 막아왔다. "국론 분열의 우려가 있다"는 게 이유였다.

박 보훈처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이 유력시됐던 지난 9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5월 단체 한 관계자는 "박승춘 보훈처장이 오히려 5·18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이용해 존재하지 않던 국론분열을 일으켜왔다"며 "어차피 정권이 바뀌면 물러나야 할 사람이었다. '대통령 신분으로 5·18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겠다던 약속, 5·18의 한을 풀어주겠다던 다짐을 문재인 대통령이 반드시 지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 5·18민주화운동 정신 헌법 전문 수록 ▲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기념곡 지정 ▲ 국가 차원의 5·18 진상 규명위 구성 및 5·18 정신 훼손 엄벌 ▲ 발포 명령자·헬기 기총 소사 등 진상 규명 ▲ 5·18 관련 자료 폐기 금지 특별법 제정 등을 약속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