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의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의혹' 보도로 인한 파장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은 거래설의 장본인으로 지목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공격하고 나섰고 문 후보 측은 SBS를 상대로 법적 대응을 비롯한 모든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3일 “세월호 인양 뒷거리 의혹과 언론탄압 의혹의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며 “문 후보의 강력한 해수부 부활 발언, 민주당 부산선거대책위원장 오거돈 전 해수부장관의 해경 해수부 복귀, 수산 관련 차관 신설 등 발언을 연결해보면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의혹은 더욱 깊어진다"고 주장했다.
정준길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갖고 “세월호 인양 뒷거래 의혹을 보도한 언론사는 갑자기 관련 기사를 삭제하고, ‘기사의 원래 취지는 정치권 상황에 따라 바뀌어온 의혹이 있는 해수부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었다는 해명을 했다”며 “전후 정황에 비춰보면 문 후보 측이 언론사에 강한 압력을 행사해 해당 기사 삭제와 해명 방송을 종용한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국민의당도 이날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벌써 언론탄압을 시작하는 건지 법적 책임을 묻겠다며 으름장을 놨다”고 총공세를 폈다.
손금주 국민의당 중앙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이같이 말한 뒤 "그 결과 기사의 진위 여부가 가려지기도 전에 기사가 삭제되는 참담한 일이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손 대변인은 "세월호 인양 지연 의혹 기사 삭제 사건은 문 후보가 노골적으로 언론을 탄압하고 줄 세우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언론에 재갈 물리기를 하는 문 후보는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고 있는 것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왕관을 쓰고 행복하다며 벌써 제왕적 대통령 코스프레를 하더니 이제는 언론 탄압까지 하려는 것인가"라며 "대체 박근혜 전 대통령과 다른 점이 뭐냐"라고 따졌다.
문 후보 측은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거래설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제기한 이날 정오 SBS를 항의 방문한다.
문 후보 측 송영길 선대본부장과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원도 확인되지 않은 공무원의 일방적인 말을 가지고 민감한 시기에 이런 보도를 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저와 박주민 의원, 박광온 공보단장은 같이 SBS 본사를 방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시 한 번 (SBS가) 오늘 저녁 8시 뉴스에 이에 대한 사과 및 해명 보도해줄 것을 촉구한다"며 "무슨 정치적 이해관계가 있어서 해당 공무원이 이런 인터뷰를 했는지도 밝혀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도 “해당 기사는 내용만 봐도 정말 말이 안 된다”며 “어떻게 3년 전부터 이번 대선이 조기에 치러질 것을 예상하고 문 후보를 위해 인양을 지연해왔다는 것인지, 그것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을 때 이랬다는 것인지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거래설의 진원지인 해양수산부도 고의 인양 지연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이철조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장은 3일 오전 브리핑을 갖고 “상하이샐비지와의 인양 계약은 성공 조건부 대금 지급 조건”이라며 “고의로 인양을 지연하면 그에 따른 손실을 인양업체가 부담하는 구조다. 고의로 인양을 지연할 수 없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언론중재위원회 제소 등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해 허위보도에 대한 책임을 물을 계획” 라고 강조했다.
전날 SBS는 익명의 해수부 관계자를 인용해 “솔직히 말해 이거(세월호 인양)는 문 후보에게 갖다 바치는 것”이라며 “(세월호 인양을 고의 지연해) 정권 창출되기 전에 문 후보에게 갖다 바치면서 문 후보가 약속한 해수부 2차관을 만들어주고 해경도 해수부에 집어넣고 이런 게 있다”고 보도했다.
논란이 일자 SBS는 이날 “해당 기사는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인양을 부처의 이익을 위해서 이용했을 수 있다는 의혹을 보도한 것이고 기사의 원래 취지는 ‘정치권 상황에 따라서 세월호 인양 입장이 바뀌어 온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었다”며 “보도 내용에서 충실히 의도를 담지 못해서 논란을 일으킨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 상세한 취재 내용 등은 후속 보도를 통해 밝히겠다”고 밝혔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