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2016년 4월 미세먼지와 관련한 소책자 ‘바로 알면 보인다.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를 발표해 미세먼지의 개념을 비롯해 발생원인, 오염 및 피해현황, 미세먼지를 줄이는 방안 등을 밝혔다.
또 2013년 환경부 업무 보고 당시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PM2.5 초미세먼지에 대해 2017년까지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국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대책은 마련되지 못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PM2.5(단위 ㎍/㎥)의 기준으로 하루 평균 25, 연평균 10을 제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보다 약 두 배 가량 높은 일평균 50, 연평균 25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WHO에 의하면 PM2.5 수치가 45일 경우 폐질환을 비롯해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보통’에 해당해 바깥에서 일상생활을 해도 별 무리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게다가 시민들은 미세먼지의 실제 수치가 아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의 단계만 보고 그날의 미세먼지 농도를 체크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는 WHO보다 엄격하지 못한 기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단계로만 미세먼지를 파악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를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사이트들이 많아졌는데, 이들 간에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도 시민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킨다.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어플 ‘우리동네 대기질’에서 보여주는 미세먼지 농도와 세계 곳곳의 대기오염 실태 정보를 공유하는 에어비쥬얼, 일본 기상협회에서 제공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모두 달랐다. 게다가 지역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소가 촘촘하게 설치돼지 않아 지역별 미세먼지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시민들이 오해할 수 있는 미세먼지 기준을 WHO 권고 기준과 맞추는 것과 더불어 적절한 미세먼지 농도 단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더 많은 미세먼지 측정소를 설치해 정확하면서도 일관된 미세먼지 수치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김지희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