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음식물쓰레기 감량 위해 팔 걷어 부쳤다

입력 2017-04-24 17:35
“음식물쓰레기를 30% 이상 줄여야 합니다.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전국 1위라는 오명을 벗어 던집시다.”

음식문화가 발달한 광주에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도 유난히 많다. 잔칫상처럼 푸짐한 상차림이 옛부터 미덕으로 여겨진 탓이다. 2015년 기준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하루 537t으로 시민 1인당 360g에 달한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이다.

광주시는 이 같은 오명을 벗어나기 위해 팔을 걷어 부친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만 매년 320억원에 달해 시의 재정부담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와 악취 등으로 인한 민원도 문제다.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유덕동 광주제2공공음식물자원화 시설의 경우 2013년 문을 연 이후 법정 기준치를 초과한 악취를 배출하고 무리한 가동에 따른 고장도 잦아 개선명령을 받기도 했다. 이에 따라 시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관련제도 강화와 인센티브 부여, 시민 자율참여 등 전방위 대책을 추진한다. 시는 공동주택 종량제(RFID) 보급사업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까지 전체 34만 가구 중 13만 가구에 종량제 전자태그(RFID) 시스템을 설치했다. 올해는 5억4000만원을 들여 1만6000여 가구에 확대 설치할 방침이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수수료는 주민부담률을 현 35% 수준에서 현실화하기로 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교육을 실시하고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시각화한 지도를 작성해 배포하기로 했다. 자치구 등 지역별로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시는 또 생활 속 음식물쓰레기 30% 줄이기 실천 다짐대회와 저탄소녹색아파트 공모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성과를 낸 우수 아파트 40곳에는 3억2000만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시 관계자는 “학교와 병원 등 집단 급식소에서 ‘빈그릇 운동’을 벌이고 다량배출 사업장에 대한 점검과 계도활동은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