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는 실명을 초래하는 녹내장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 의대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찬윤‧김성수‧임형택‧이상엽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혈압 진단을 받은 10만 62명과 비교군(정상 혈압) 10만 62명을 11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고혈압 환자의 경우 ‘개방각 녹내장’ 위험이 16% 더 높다고 20일 밝혔다.
녹내장은 안압이 높아지거나 혈액순환 문제 등으로 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시야가 좁아지며 실명에 이르는 질환이다. 녹내장은 개방각 녹내장과 폐쇄각 녹내장으로 나누는데, 개방각 녹내장은 눈의 체액(방수)이 나가는 배출구는 열려있지만 원활이 빠져 나가지 못해 발생한다. 대부분 서서히 진행돼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녹내장의 약 80% 정도가 이 개방각 녹내장이다.
노년층으로 접어들기 이전인 65세 미만에서도 고혈압이 있는 경우 녹내장 위험성은 정상혈압인 사람보다 17%로 높게 나타났다. 고혈압 이외에 간질환이나 고지혈증 등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녹내장의 위험이 22%가 높아졌다.
그동안 고혈압으로 개방각 녹내장 발생률이 16~22%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는 있었지만 건강검진 결과가 포함된 건보공단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같은 고혈압 환자라도 나이가 많을수록 개방각 녹내장 발생 확률이 더 높았다. 고혈압 환자 40대를 기준으로 했을 때 50대의 경우 1.82배, 60대는 2.76배까지 올랐다. 70대 이상은 3배 이상 높았다.
수축기 혈압이 높을수록 개방각 녹내장 발생률도 증가했다. 수축기 혈압이 120mmg 이하인 경우 녹내장 발생률이 인구 만명당 15.5명인데 반해 140mmHg 이상은 19.2명으로 20%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찬윤 교수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혈압을 적절히 관리하고 40대 이상의 경우 연 1회 안과 검진을 통해 녹내장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며 “고혈압 환자의 경우 연 1회 이상 안과 검진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와 함께 사전에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이번 연구결과는 ‘고혈압학회지(Journal of Hypertension)’ 최신호에 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