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토론] ‘북폭설’ 현실 되면… 후보별 대응은? “트럼프 설득” “국토수복 작전”

입력 2017-04-13 12:44 수정 2017-04-13 12:51
주요 정당 대선후보 5명이 13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첫 방송 합동토론에서 손을 잡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대권 유력주자들은 한반도 안보 위기에 어떻게 대응할까. 주요 정당 대선후보 5명은 13일 서울 상암동 SBS 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첫 방송 합동토론에서 북한의 6차 핵실험과 미국의 선제타격을 가정한 공통 질의를 받고 뚜렷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모든 후보가 미국·중국과의 협조를 말했지만 그 방법은 각각 달랐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의 경우 ‘전쟁 불사론’을 배제하지 않은 적극적인 군사적 대응을 강조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유일하게 ‘평화’를 말했다.

SBS 대선후보 초청토론은 오전 10시부터 2시간 넘게 녹화로 진행됐다. 오후 10시 방송 예정이다. 후보들의 발언 순서는 추첨을 통해 정해졌다.






-김성준 SBS 앵커: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 일이 벌어져선 안 되고 가능성도 높지 않지만, 북한이 도발 수위 높이고 미국이 군사적으로 타격하려 한다면 대통령으로서 어떻게 대응할지 우선순위대로 3가지를 선정해 30초씩 말해 달라.






-홍준표(자유한국당): 우선 미국 측과 협의해 선제타격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선제타격이 이뤄지면 전군 비상태세를 발령하고 전투를 준비하겠다. 세 번째 국토수복 작전에 즉각 돌입하겠다.






-안철수(국민의당): 가장 최우선적으로 미‧중 정상과 전화통화를 하겠다. 내 와튼스쿨 동문이기도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쟁은 절대 안 된다’고 이야기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도 ‘북한에 압력을 가하라’고 이야기하겠다. 그 다음 북한에 ‘도발을 즉각 중단하라’고 성명을 내고 안보태세를 강화하겠다.






-유승민(바른정당): 선제타격은 예방적 자위권 조치다. 한‧미가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기 때문에 안보를 중시하는 대통령이 돼야 한다. 모든 군사적 준비를 다하고 선제타격을 해야 한다. 우리의 군사적 준비를 다하고 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그런 일은 없어야 한다.






-심상정(정의당): 대통령 특별담화로 한반도 군사적 행동이 없어야 한다는 점을 설명하겠다. 필요하면 미국과 중국에 특사를 파견해 평화를 설파하겠다. 국민의 안전을 위한 비상조치를 하겠다.






-문재인(더불어민주당): 미국 대통령에게 전화해 ‘우리의 동의가 없는 선제타격은 안 된다’고 말하고 포기하게 만들겠다. 그 다음 전군 비상태세 내리고 비상체제로 국가를 운영하겠다. 북한에 핫라인으로 ‘선제타격의 빌미가 될 행동을 즉각 중단하라’고 설득하고 중국과 협조하겠다.

이번 토론의 공통질의는 한국기자협회 회원 1만여명으로부터 의견을 취합한 뒤 2가지로 압축됐다. 한반도 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과 함께 가계소득을 높이기 위한 해법을 후보들에게 물었다. 후보들은 경제정책에 대한 구상을 우선순위대로 3가지씩 말했다.






-안철수(국민의당): 좋은 일자리가 없어 자영업으로 몰린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 때문이다. 세 가지 사안을 모두 제대로 대응해야 한다. 좋은 일자리와 공정한 경쟁구도를 만들어 격차를 줄여야 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도 줄여야 한다.






-유승민(바른정당): 장밋빛 이야기를 할 것이 아니라 20년 전 IMF(구제금융) 위기가 절대로 오지 않도록 취임 즉시 막겠다. 일자리는 중소기업과 창업혁신기업이 만드는 것이다. 재벌이 (일자리를) 만드는 시대는 끝났다. 중소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정책을 펼치겠다. 5년 내내 비정규직 문제에 올인하겠다. 사회안전망을 확실하게 지키겠다.






-심상정(정의당): 최저 임금을 1만원으로 올리겠다.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겠다. 자영업자의 소득을 올리겠다. 통신비 등록금 병원비 (건물)임대료를 낮춰 가계의 가중소득을 확대하겠다.






-문재인(더불어민주당): 기본적으로 소득 주도의 성장으로 경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첫 번째 좋은 일자리를 잘 만들고 중소기업 비정규직 격차를 낮추겠다. 세 번째로 최저 임금을 올려야 한다. 2020년까지 최저 임금 1만원을 반드시 해내겠다.






-홍준표(자유한국당): 우선 기업 기살리기 정책을 취하겠다. 두 번째로 강성·귀족 노조를 타파하도록 하겠다. 세 번째로 서민복지를 강화해 어렵고 힘들고 가난한 사람 중심의 복지체계를 재정립하겠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