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과의 추억과 마음까지 정리할 것”이라고 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수년간 안랩 직원을 정치활동에 동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KBS는 안 후보가 이사회 의장직을 사퇴한 2012년 9월 이후에도 안랩 직원들이 안 후보의 정치활동을 도왔다고 보도했다. 특히 김기인 안랩 전무는 재보궐 선거 당시 안 후보의 비공개 사무실을 계약·해지하는 등 안 후보의 활동의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사무실에 안랩의 컴퓨터, 의자 등이 사용됐다는 증언도 나왔다. 안 후보 측의 관계자였던 A씨는 “김 전무가 2015년까지 매주 한 차례 이상 의원회관을 찾아 안 후보를 독대했다”고 말했다.
매체에 따르면 안 후보의 선거사무실 회계책임자 역시 안랩 직원이거나 안랩 관련 인물이었다. 2012년 대선에는 안랩 재무팀장 출신인 김모씨가, 2013년 재보궐 선거에는 김기인 전무의 부인이, 2015년 총선에는 안랩의 또 다른 김모씨가 회계 책임자로 투입됐다. 이중 김기인 전무의 부인은 회계와 무관한 음대 출신으로 확인됐다.
안랩 직원들은 2012년 10월 안 후보의 빙모상 장례식에서 부의금 접수와 신발 정리, 안내 등을 맡기도 했다. 안 후보의 부인 김미경 서울대 교수의 비서 겸 운전기사로 안랩 직원이 동원된 정황도 드러났다.
이에 대해 안랩 측과 안 후보 측은 회사 창업자이자 퇴직 임원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지원한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 LG, SK 등 10대 대기업 수준에 맞췄다는 주장이다.
안 후보는 안랩을 창업한 지 17년 만인 2012년 9월 안랩 이사회 의장직을 사퇴했다. 당시 안 후보는 “오늘자로 이사회 의장 뿐아니라 제가 가졌던 모든 추억과 마음까지도 정리해야할 것 같다. 내가 만약 대통령이 된다면 아마도 굉장히 엄중한 사회의 관치 속에서 (안랩은) 세계 수준의 경영 투명성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후보의 안랩 직원 동원 의혹에 대해 정의당은 12일 “사적인 부분과 공적인 영역을 구분하지 못하는 이는 공직을 맡을 자격이 없음을 국민들은 이미 박근혜 최순실 국정농단을 심판하는 과정에서 분명히 선언해주었다”며 “안랩 직원 정치활동 동원이 모두 사실이라면 안철수 후보는 대통령 후보로서 자격이 없다.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제대로 된 해명이 나와야 한다”고 꼬집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