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ATM으로 유출된 카드정보 방치했던 씨티은행의 결말은?

입력 2017-04-10 01:37 수정 2017-04-10 10:00

ATM기에서 카드정보가 유출돼 금융당국이 대책 마련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된 조치를 취하지 않은 씨티은행에서 부당인출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당시 카드정보는 무려 2500건이 유출됐다. 그중에 씨티은행은 28건이다. 유출건수가 많은게 편은 아니지만 안이한 대처로 2차 피해가 현실화됐다는 점에선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SBS는 지난달 20일 편의점에 비치된 ATM기 60여 대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카드정보가 유출된 이후 씨티은행 계좌에서 부당 인출 사고가 수십건 발생했다고 10일 보도했다. 발생시점은 어제부터로 수십 건의 해외 부정인출이 이어졌다. 

사진=SBS 캡처

보도에 따르면 돈을 인출한 곳은 태국이다. 처음엔 거액 인출을 시도했다 잔고 부족으로 거절당하자 액수를 줄여 인출하는 수법으로 이뤄졌다. 이런 소액 인출 피해가 씨티은행 계좌에서만 28건이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커졌다. 잔고가 있었다면 큰 금액이 불법 인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금융 감독 당국은 국내 카드사에 카드정보 유출사실을 고지하고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카드사들은 명단을 받아 거래정지를 시킨 뒤 고객들에게 연락을 취해 재발급을 독려했다. 그러나 씨티카드는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해외에서 현금을 인출하는 고객이 많아 거래정지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뒤늦게 씨티은행 측은 정보가 유출된 카드를 외국에서 거래할 수 없게 모두 정지 시키고 피해금액을 이번주 내로 보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경고에도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소비자 호보 소홀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