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7일(현지시간) 정상회담에서 북핵 프로그램 억제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핵 억제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기자들에게 “양국관계에 엄청난, 진정한 진전을 이뤘다”며 “우리는 많은 추가적인 진전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깊고 오랜 대화를 가졌으며, 양국의 친선을 유지하기 위한 신뢰를 구축하는 공통의 이해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그러나 이례적으로 공동성명을 내지 않았고, 별도의 기자회견도 하지 않았다.
대신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윌버 로스 상무장관 등이 회담결과를 간단히 설명했다.
먼저 북핵 문제에 대해 틸러슨 장관은 “시 주석은 북한의 핵 개발이 심각한 단계에 이르렀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시각을 공유했다”며 “두 정상은 북핵 프로그램 억제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틸러슨 장관은 “그러나 중국이 북한문제를 협조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독자적인 방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바꿔 말하면 두 정상이 북한에 대한 원론적인 합의만 이뤘을 뿐 트럼프 대통령이 구체적인 중국의 행동을 끌어내지는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을 놓고 두 정상이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도 알려지지 않았다.
발표 형식과 내용으로 볼 때 미중 정상은 북핵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하면서도 구체적 해법에 대해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불균형 시정을 위한 ‘100일 계획’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수출을 늘리고, 무역 적자를 축소하는 내용을 담았다고 윌버 로스 상무장관이 설명했다.
로스 장관은 “중국 측은 무역수지 흑자가 통화 공급과 인플레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무역 수지 흑자 축소에 관심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양국의 첫 포괄적 경제대화를 이날 개최했다고 전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